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17개국의 총 818만 명 대상으로 15만t 쌀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쌀 원조를 통해 기후변화와 분쟁 등으로 심각해진 국제 식량 위기가 완화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2009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가입을 계기로 국제사회 최초로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했다. 2018년부터 식량원조협약(FAC) 가입과 함께 매년 5만t 규모의 쌀을 지원해 왔다.
2024년에는 식량원조 규모를 10만t으로 확대해 아프리카와 중동 등 11개국의 767만 명에게 식량을 지원했다.
올해는 지원 규모를 15만t으로 확대해 총 818만 명에게 쌀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부는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우리 쌀에 대한 수용성 등을 감안해 지원 대상국으로 아프리카 9개국(케냐, 우간다, 에티오피아,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나미비아, 모리타니, 시에라리온, 기니비사우), 아시아 4개국(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필리핀, 타지키스탄), 중동 3개국(레바논, 예멘, 시리아), 중남미 1개국(쿠바) 등 총 17개국을 선정했다.
올해는 지난해 수교를 맺은 쿠바를 지원 대상에 포함함에 따라 우리 쌀 지원이 중남미까지 확장하는 등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세계 식량위기 해소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계속해서 이어갈 계획이다.
역대 최대 규모 물량이 지원되는 만큼 수원국의 식량 사정과 국내 물류 여건을 감안해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지원된다. 총 4개 항구(울산, 군산, 목포, 부산)를 통해 4월과 10월경에 출항돼 2025년 7월부터 수혜자들에게 분배될 예정이다.
정혜련 농식품부 국제협력관은 “어느덧 8년 차를 맞이한 식량원조 사업은 과거 유엔세계식량기구로부터 지원을 받았던 우리가 선진국으로 격상됐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사업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앞으로도 세계 식량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위해 식량원조 사업의 대상 국가와 지원 품목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