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mg.sedaily.com/2025/02/11/2GOXEKBDMC_2.png)
프랑스의 명품기업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가 국내 주요 백화점에 중국인 보따리상(다이궁)들의 리베이트 거래 관행을 중단해줄 것을 요구했다.
1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LVMH는 최근 국내 주요 백화점 바이어들에게 연말연초 중국인 보따리상들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우려하며 리베이트 지급 관행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했다. 한 백화점업체 관계자는 “LVMH가 최근 중국인 판매 비중이 높아진 점을 지적하며 내수 VIP 고객의 건강한 성장을 원한다는 점을 전달했다”며 “점포 단위 리베이트 제도 운영 현황을 점검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주요 백화점은 점포 단위에서 명품 판매를 늘리기 위해 중국인 보따리상처럼 거래 물량이 많은 ‘큰 손’ 고객에게 구매액의 일정 비율을 되돌려주는 리베이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당초 외국인 VIP 고객을 유치하고자 도입한 제도지만, 중국인 보따리상이 이를 악용하고 있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앞서 롯데면세점은 수익성 강화를 위해 중국인 보따리상에 대한 면세 판매를 전면 중단하기도 했다.
통상 보따리상들은 한국에서 면세품 또는 백화점 명품을 할인된 가격에 대량 구매해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에 유통한다. 정가보다 낮게 되팔아도 마진이 남는 구조인 셈이다. LVMH 등 명품 업체들은 이러한 판매 관행이 자사 브랜드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고 보고있다. 베르나르 아르노 LVMH 회장은 2023년 초 실적 발표 당시 “일부 거래처가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매출을 늘리려고 리셀러에게 할인된 가격으로 물건을 팔았는데 브랜드 이미지에 이만큼 나쁜 것이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다만, LVMH 외에 추가로 리베이트 문제를 제기한 명품 업체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르메스와 샤넬 등은 물량 자체가 부족하고 프라다, 구찌 등은 리베이트 수요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