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한인타운의 미식 지형도를 논할 때 ‘코리안 바비큐(K-BBQ)’는 빼놓을 수 없는 상징이다. 지글거리는 불판 위 익어가는 고기 냄새는 국적 불문하고 많은 이들을 유혹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무제한 고깃집(AYCE BBQ)’은 한인타운 외식업계의 독특한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다.
그 역사의 시작을 거슬러 올라가면 1990년대 웨스턴과 멜로즈 인근에 문을 연 ‘청운부페’를 만나게 된다. 뷔페 형식이긴 했으나 고기에 방점을 찍고 30년 넘게 자리를 지킨 이곳은, 초기 무제한 고기 제공 업소의 원류 격이다. 청운부페 이후 한동안 무제한 고기 뷔페는 장례식 후 식사 장소 정도로만 머물렀다.
정체되어 있던 무제한 고기 시장에 일대 변혁을 일으킨 것은 바로 2000년에 등장한 ‘마당쇠’였다. 파격적인 가격(점심 13달러, 저녁 17달러)에 갈비, 주물럭, 막창 등 한인 선호 부위를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콘셉트는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나아가 옆 건물에 ‘벌몬 정육점’을 열어 소비자가 원하는 부위를 따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단순한 식당을 넘어선 사업 확장 시도로 평가받는다.
마당쇠가 무제한 고깃집의 ‘대중화’를 이끌었다면, ‘무대포’는 ‘대형화’와 ‘주류화’의 물꼬를 텄다. 기존 상가 건물에서 벗어나 독립 건물을 개조, 높은 천장과 세련된 인테리어를 갖춘 무대포는 타인종 고객들에게도 어필하며 대형 무제한 고깃집의 새로운 성공 모델을 제시했다.
외국인 고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또 다른 대형 업소로는 ‘추풍령’이 있다. 알함브라에 2호점을 냈다가 매각하기도 했지만, 한인타운 내 옛 ‘쌈’ 자리에는 ‘서울소울’을, 버몬트 길 옛 ‘불판’ 자리에는 추풍령 3호점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무제한 고깃집은 빠르게 세분화되었다. 타인종 고객들에게 인기 있는 ‘불고기하우스’, ‘해장촌’, ‘쭈꾸쭈꾸’, ‘AYCE BBQ & Sushi’ 등이 꾸준히 사랑받고 있으며, 20달러대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주로 히스패닉 고객층을 공략하는 ‘캐슬’과 ‘달대포’ 등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다.
무제한 고깃집 시장의 ‘고급화’를 선도한 것은 ‘우국’이었다. 당시만 해도 무제한은 저가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우국은 세련된 인테리어와 엄선된 고급 부위만을 제공하며 1인당 30달러 이상의 ‘하이엔드 무제한 BBQ’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 사실 초기에는 단품 메뉴 중심의 고급 고깃집을 구상했으나, 무제한 BBQ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를 간파하고 과감히 콘셉트를 수정한 것이 주효했다.
한인타운 본점에 이어 알함브라 지점까지 성공시키며 ‘고급 무제한’의 가능성을 증명했고, 이는 이후 상장 기업인 ‘젠바비큐’의 초기 모델이자, ‘샤부야’ 등 외식 브랜드를 성공시킨 경영진의 기반이 되었다.
최근 한인타운에는 새로운 세대의 무제한 고깃집들이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이미 업계 최고 수준의 매출을 기록 중이라는 ‘강남스테이션’, 와규 등 최고급 메뉴를 내세운 ‘무한 BBQ’, 그리고 ‘마당쇠’의 창업자가 새롭게 선보인 대형 매장 ‘청담 BBQ’ 등이 치열한 경쟁을 예고한다.
사실 고기 중심의 ‘무제한 뷔페’라는 개념의 원류를 따지자면, 브라질리언 바비큐(슈하스코)를 빼놓을 수 없다. 서버들이 테이블을 돌며 다양한 종류의 구운 고기를 직접 썰어주는 ‘로드리지오’ 방식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사랑받아왔다. 한인타운의 ‘M그릴’이나 베벌리힐스의 ‘포고 데 차오’ 같은 곳들은 이러한 고기 뷔페 시스템의 자부심을 지키고 있으며, ‘뷔페는 우리가 먼저’라는 그들의 자부심은 충분히 인정받을 만하다.
한편, LA 한인타운에서 시작된 무제한 고깃집의 성공 신화는 주류 시장으로 확장되어 상장으로까지 이어졌다. 우국 경영진과도 연관 있는 ‘젠바비큐’는 터스틴과 알함브라에서 시작해 주로 외국인 고객을 겨냥한 AYCE BBQ 전략을 펼쳤다. 반찬 아웃소싱, 대형 물류 시스템 구축 등 한식당이 겪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거듭한 결과, 3년 전 미국 주식시장에 성공적으로 상장하는 쾌거를 이루며 K-BBQ AYCE 모델의 사업성을 증명했다.
청운부페의 소박한 시작부터 마당쇠의 대중화, 무대포의 대형화, 우국의 고급화, 그리고 젠바비큐의 상장에 이르기까지, LA 한인타운의 무제한 고깃집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해왔다. 이는 단순한 식당가를 넘어 시대의 흐름을 읽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며 성공 신화를 써온 한인 외식업계의 저력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다. 과연 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다음 주자는 누가 될지, K-BBQ AYCE의 진화는 어디까지 이어질지 자못 궁금해진다.
라이언 오 / CBC 윌셔프로퍼티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