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저소득층 덮친 트럼프 관세…부유층 대비 부담 3배 커

2025-04-25

미국 저소득층 덮친 트럼프 관세…부유층 대비 부담 3배 커

하위 20% 지출 6.2% 늘고, 상위 1%는 1.7%만 더 지출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하는 관세 여파로 미국의 저소득층이 부유층에 비해 3배 많은 지출 부담을 지게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진보 성향 조세경제정책연구소(ITEP)는 최근 보고서에서 현재 시행 중인 관세가 내년에 그대로 유지될 경우 소득 계층별로 받게 될 부담을 분석했다.

연구소는 연간 소득이 2만8천600달러(약 4천100만원) 이하인 하위 20% 계층의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인해 소득의 6.2%를 더 지출해야 하는 반면, 연간 소득이 91만4천900달러(약 13억1천160만원) 이상인 상위 1% 부자들은 소득의 1.7%만 더 쓸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소득 5만5천100~9만4천100달러인 중간 소득 가정은 소득의 5%를 더 지출하게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총 145% 관세를 부과했으며 나머지 무역 상대국에는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기본관세 10%를 적용한 상태다.

멕시코와 캐나다엔 마약 유입 문제 등을 이유로 25% 관세를 부과했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무역협정 적용 항목에 대해선 관세를 유예했다. 철강·알루미늄에는 25% 품목별 관세를 부과했다.

경제학자들은 관세로 인한 비용이 궁극적으로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모든 계층의 물가가 상승하겠지만, 저소득층은 부유층에 비해 식품이나 생필품 등에 대한 지출 비중이 크기 때문에 소득의 더 많은 부분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도 관세로 인해 단기적으로 식품 가격이 2.6%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관세 영향을 받는 모든 상품 중 의류의 가격 인상률(64%)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가정 평균으로는 연 4천700달러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주종국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