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모바일 주파수 샀다… '위성 폰' 시대 열릴까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2025-09-08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무선 주파수 대역을 구매하고 본격적인 위성 이동통신 사업에 나선다. T모바일 등 대형 사업자 주파수를 빌려 쓰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스페이스X가 휴대전화와 위성을 직결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이통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8일(현지 시간) 스페이스X는 미국 통신 기업 에코스타의 50㎒의 무선 주파수 대역과 글로벌 이동위성서비스(MSS) 주파수를 170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에코스타가 운영하는 알뜰폰(MVNO) 서비스 ‘부스트 모바일’ 사용자들도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위성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스페이스X는 “휴대전화와 직결하는(Direct to Cell) 차세대 위성군을 개발, 구축할 수 있게 돼 세계 각지 휴대전화에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동통신 네트워크 용량을 100배 이상 확장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해 1월부터 위성과 휴대전화를 연결해 세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렉트 투 셀 위성을 쏘아올려 왔다. 현재 600여 개 위성을 배치해 세계 각지 600만 명에게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다만 미국에서는 주파수를 확보하지 못해 위성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이 한정적이었다. T모바일 등과 협업해 문자메시지·영상통화를 제공해왔으나 타 이통사 주파수를 빌려 쓰는 형식이었다.

주파수 확보가 절실했던 스페이스X는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를 통해 에코스타를 꾸준히 압박해왔다. 에코스타는 2008년 전국망 구축을 조건으로 5G 주파수 대역을 확보했으나 경영난으로 망 구축이 지연되고 있었다. 또 위성 TV 서비스용으로 보유한 12GHz 대역이 스타링크와 겹쳐 주파수 간섭으로 마찰을 빚어왔다. 이에 FCC는 에코스타에 주파수 제공 요건을 채우도록 지속적인 압박을 넣어왔다. 이에 지난달 에코스타는 전국망용 50㎒ 대역 일부를 230억 달러에 AT&T로 넘겼고 남은 대역과 위성통신 주파수 또한 스페이스X에 매각하게 됐다.

스페이스X는 주파수 확보를 발판으로 본격적인 스타링크 위성 이통 사업에 나설 전망이다. 현재 스타링크의 주력 서비스인 위성 인터넷은 별도 안테나 구매가 필요해 유선망 설치가 힘든 오지를 제외하면 확산 속도가 느리다. 휴대전화와 직연결이 가능해진다면 안테나 구매와 설치가 필요 없는데다 기존 이통사 대비 커버리지가 넓어 경쟁력이 높다.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도 꾸준히 늘어나는 중이다. 미 무선통신산업협회(CTIA)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내 모바일 데이터 사용량이 132조 메가바이트(MB)로 종전 역대 최고치보다 35% 늘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