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산업 포럼 선 오부치 유코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정신 되새겨야”

2025-10-29

29일 오후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열린 제6회 세계문화산업포럼(WCIF)에 기조연설자로 나선 오부치 유코(小渕優子·52) 일본 중의원 의원(자민당)은 이렇게 말했다. 세계문화산업포럼은 한국 문화산업 분야 기업인·학자 등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민간단체 한국문화산업포럼(2002년 창립)이 개최하는 행사다. 올해는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한·일 인공지능(AI) 및 문화산업 선도 기업의 협력: 미래 공동발전을 위한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열렸다.

오부치 유코 의원은 이날 동영상으로 보내온 연설에서 “1998년 10월 8일 발표된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은 단순한 양국 정상의 합의문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미래를 비추는 새로운 비전이었다”며 “지금이야말로 당시 선언에 담긴 상호 신뢰와 미래지향적 협력의 정신이 다시 강조되는 시기”라고 말했다.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은 1998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총리가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이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한·일 관계에 대한 포괄적 합의 선언이다. 오부치 유코 의원은 오부치 게이조 전 총리의 딸로,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로 있을 때 한·일 관계에 관한 내용의 편지를 주고받았을 정도로 친분이 있는 정치인이기도 하다.

오부치 유코 의원은 이어 “앞으로 한·일 문화교류는 단순한 친선과 이해의 단계를 넘어, 국제사회 속에서 아시아의 새로운 거점을 형성하는 고차원의 협력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양국이 문화산업 분야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별 산업 수준의 협력을 넘어 공동의 문화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은 이장우 WCIF 의장의 개회사와 주호영 국회부의장의 축사, 김상협 GGGI(글로벌녹색성장기구) 사무총장의 환영사로 문을 열었다. 오부치 유코 의원의 기조연설 후 WCIF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전 총리의 모습을 인공지능 기술로 복원한 대담 영상을 공개했다. 이후 김유원 네이버 클라우드 대표가 한·일 인공지능 협력을 통한 기술발전 전략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다. 김 대표는 인공지능 노인 케어 서비스 등 최근 성공적으로 개최한 한·일 협력 사례를 발표했다.

이후 이장우 의장이 진행하는 패널토론에서 디지털 콘텐트 에이전시인 더에스엠씨 김용태 대표, 인공지능 기술 스타트업 제네시스랩의 이영복 대표, 일본국제금융정보센터의 윤민호 특임연구위원실장이 아시아 문화콘텐트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한·일 협력 전략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김용태 대표는 세계적 규모인 일본 광고회사 덴쓰(電通)와의 마케팅 협력사례를, 이영복 대표는 주력 사업인 인공지능 면접 기술 수출 계획을 소개했다.

WCIF가 제정한 한·일 문화교류 공로상은 버추얼 아이돌 신인그룹 러비타(LUVITA)와 아이리제(IRISÉ), 방송인 후지모토 사오리(藤本紗織)가 수상했다. 송승환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 총감독은 폐회사에서 “오늘 이야기를 나눈 인공지능과 일본이라는 주제는 앞으로도 문화산업계의 주요 논의거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WCIF는 2020년부터 매년 포럼을 열어 아시아와 서구의 문화콘텐트 전문가, 기업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