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의 성비위 이슈가 일파만파 퍼지며 조국 조국혁신당 혁신정책연구원장의 부정 여론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성 비위 피해자 측이 수감 중인 조 원장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외면했다는 점을 거듭 문제 삼으면서다. 정치권에선 “안 그래도 특별 사면·복권으로 광폭 행보를 보인 조 원장의 비호감도가 높았는데 이번 사건의 방조 논란으로 한동안 여론을 뒤집기 힘들 것”이란 시각이 나온다.
‘부정’이 ‘긍정’의 4배 웃돌아

7일 서울경제신문이 소셜네트워크(SNS)상의 텍스트를 빅데이터로 분석해주는 ‘썸트렌드’를 통해 조 원장의 언급량을 살펴본 결과 지난 4일 ‘조국’ 언급량은 전날(3136건)에 비해 4배 이상 뛴 1만 3406건이었다. 최근 일주일치를 보면 8월 30일부터 9월 2일까지 언급량은 3000건 안팎을 유지하던 상황이었다. 전체 언급량이 는 데에는 긍정 언급량보다 원래도 월등히 높았던 부정 언급량이 4배 이상 치솟은 탓이 컸다. 4일 부정 언급량은 1만 785건으로 전날(2364건)에 비해 4배를 웃돌았다.

부정 여론을 키워드로 보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건 ‘논란’ ‘외면하다’ ‘절규’ ‘괴롭히다’ 등으로 최근 당 내 성비위 논란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불공정’ ‘범죄’ ‘망언’ ‘위선’ 등의 키워드도 나타났는데 자녀 입시 비리에 대한 비호감도가 여전한 것으로 해석된다.

9월 4일은 강미정 조국혁신당 대변인이 당이 성 비위 사건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고 무마했다는 취지의 기자회견을 연 날이다. 강 대변인은 “당은 피해자들의 절규를 외면했다. 윤리위와 인사위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져 있었고, 외부 조사기구 설치 요구는 달이 넘도록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그 사이 피해자들은 당을 떠나고 있다. 제가 더는 기다릴 수 없음을, 그리고 떠날 수밖에 없음을 확신하게 된 이유”라며 탈당을 밝혔다.
‘친정’의 방조와 2차 가해 봇물
조국혁신당은 강 대변인의 회견 후 입장문과 기자회견 등을 통해 그의 주장을 반박했지만 조 원장의 방조 논란이 불거졌다. 강 대변인은 조 원장이 사면된 후에도 별다른 조치 없이 침묵으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조 원장은 “당시 당적 박탈로 할 수 있는 역할이 없었다”며 “피해 회복 과정에 소홀했던 부분은 없었는지 반성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피해자 대리인 역할을 맡았던 강미숙 여성위원회 고문은 "혁신당은 조국의 당"이라며 "당 지도부와 당직자들이 수시로 면회를 다니며 당무를 보고하고 논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질타했다.
피해자 보호와 사태 수습은 커녕 2차 가해 논란도 지속됐다. 이규원 조국혁신당 사무부총장은 5일 "성희롱은 범죄는 아니고 품위유지 의무 위반은 되겠죠"라며 상황에 기름을 부었다. 앞서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은 성비위 사건을 사소한 문제로 치부하고 “그렇게 죽고 살 일인가” 등의 발언으로 논란을 자초했다. 황현선 조국혁신당 사무총장은 최 원장이 2차 가해 발언으로 물의를 빚자 "본의를 누구보다 믿는다"고 감싸기도 했다.
조국혁신당, 대응 안간힘…조국은 ‘발 빼기’
가라앉지 않는 여론에 조국혁신당은 문제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행동에 본격 돌입했다. 김선민 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6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 사무부총장의 유튜브 발언과 관련해 오늘 중앙당 윤리위원회에 제소했다"고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조 원장도 같은날 유튜브에서 "창당 주역의 한 사람이자 전 대표로서 저부터 죄송하다 말씀드린다"고 재차 사과했다. 다만 "성 비위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후로 저는 옥중에 있었지 않나"라며 "제가 일체의 당무에 이래라저래라할 수 없는 처지였다"며 책임론에는 선을 그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