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원전 생태계, 정상 궤도 진입
경쟁력 강화 K원전 르네상스 열길
관련 정책 연속성·일관성 지켜야
어제 신한울 1·2호기 준공 기념식이 경북 울진에서 열렸다. 지난 8월 1일 개최하려던 기념식이 1호기 터빈 오작동으로 연기된 지 90일 만이다. 지난달 13일 공사에 들어간 신한울 3·4호기 착공식도 함께 거행됐다. 윤석열정부가 ‘탈원전 정책 폐기’를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한 지 1년 만에 원전 생태계가 정상 궤도에 진입한 것이다. 다행이 아닐 수 없다.
2017년 6월 문재인정부가 로드맵을 발표한 뒤 추진된 산업 경쟁력을 무시한 탈원전 정책의 피해는 극심했다. 안정적 전력공급에 비상이 걸리고 관련 업계 매출이 급감했다. 산업 현장의 인력 이탈 현상이 심화하고 원자력 학과 지원자 감소 등 인재 양성에도 차질을 빚었다. 원전 생태계가 완전히 붕괴하다시피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준공식에 참석해 “해외 원전 수주와 소형모듈원전(SMR) 신규 수주 등을 통해 업계에 일감을 공급하고 특성화고, 대학 특화 대학원 등 인력 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원전지원특별법 제정 의사도 피력했다. 빈말이 아닌 실천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원자력 발전의 효용성은 일상과 산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미래 세대를 위협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경제적이고도 현실적인 대안이다. 세계가 온실가스의 배출이 없는 에너지원 확보를 위해 앞다퉈 원전 복원에 뛰어든 배경이다. 최근에는 아마존, 구글과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구동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 확보를 위해 원전에 선제적 투자를 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에너지 대란도 원전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K원전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 체코 등으로의 수출에다 신한울 1~4호기 준·착공으로 세계 시장에서 더욱 힘을 받게 됐다. 시장 규모가 무려 1000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이제 필요한 것은 K원전의 경쟁력을 강화해 ‘원전 르네상스’를 이끄는 것이다. 관련 정책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지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탈원전처럼 국익을 해치는 정책 자해극을 더는 반복해서는 안 된다. 연말에 발표될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될 SMR 4기 건설 계획도 실행으로 이어져야 한다. 우리 원전 규모는 전 세계 5위 수준이다. 그런데도 원전 폐기물인 사용후핵연료 처리시설 확보가 지지부진하다. 국회가 관련법 처리를 더는 미뤄서는 안 될 일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