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이태원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 참석
"제도 정비만으로 책임 끝나지 않아"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는 4일 이태원참사 이후 정부 과제에 대해 "남아 있는 저희가 한편으로는 공직에서, 또 한편으로는 사회 곳곳에서 그러한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 사회를 바꿔가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차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를 열고 "오늘을 계기로 가족과 친구를 잃은 유가족 여러분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이태원참사 희생자 추모위원회는 향후 공식 추모사업 추진을 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민석 총리가 위원장을 맡았고,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정부위원으로 참여한다.
유가족단체의 추천을 받은 민간위원은 6명이다. 회의 시작에 앞서 김종훈·김덕진(인권 분야), 권은비(재난·안전 관리 및 추모시설 분야) 조문영(문화 분야), 설문원(문헌 정보 분야), 황필규(법률 분야) 민간위원들에게 위촉장 수여식이 진행됐다.
김 총리는 "정부가 참사 이후 밀집사고 예방대책이라든가 인파관리 지침 등 여러 가지 제도 정비를 해 왔다"면서도 "제도 정비만으로 그날의 책임이 끝났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는 차원에서 저희의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저희가 위촉장을 드리고 위촉 받으신 위원 여러분들은 유가족 추천으로 함께해 주셨다는 점에서 특별한 어떤 의미를 이렇게 스스로 구현하고 계시다는 생각이 든다"며 "진실을 기록으로 남겨서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게 하지 말자 하는 유가족의 염원을 담아 일을 맡으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위원 여러분과 함께 더 튼튼한 제도를 통해 안전한, 책임지는, 공감하는 그런 공동체로 가도록 노력을 다하겠다"며 "새롭고 안전한 대한민국을 세우는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위원들은 "주요 의안이 있을 경우 피해자들에게 사전에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와 의결 이후에도 피해자들에게 충분히 설명하는 절차가 마련되었으면 좋겠다"며 "현재 계획 중인 추모사업은 물리적 공간 조성에 치중되어 있어, 진정한 의미의 추모를 위해서는 기록물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을 통해 기억의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참사 현장에서 살아가고 있는 지역주민과 상인도 피해자의 범위에 포함되므로 이분들과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조를 통해 추모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추모위는 위원 제안 내용을 포함한 추모사업 계획과 실행방안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