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동료, 원자력공사 비리 주범
전임 대통령 부패 공격하며 당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사진)의 핵심 측근이 국영 원자력공사 관련 비리 사건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가반부패국과 반부패특별검사실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젤렌스키 대통령의 오랜 사업 동료인 티무르 민디치를 포함한 7명을 입건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5명은 이미 구속됐다. 민디치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코미디언 시절 설립한 미디어 제작사 크바르탈95의 공동 소유주이자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수사당국은 민디치에 대해 “에너지 부문에서 불법 조성된 자금의 축적·분배·세탁 전반을 통제했다”며 대통령과의 친분을 사업에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민디치는 지난 10일 대규모 압수수색 직전 해외로 도피했다.
당국은 우크라이나 원자력공사 고위 간부들이 협력업체들에서 계약금액의 10~15%에 해당하는 리베이트를 조직적·상시적으로 받아온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이렇게 조성한 자금을 민디치 등을 통해 별도 사무실에서 관리했으며 역외 기업 네트워크를 통해 세탁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탁된 자금 규모는 1억달러(약 1460억원)에 달한다.
정·재계 핵심 인사들이 이들의 비리를 묵인하거나 지원한 정황도 드러나고 있다. 당국은 에너지부 장관을 지냈던 헤르만 갈루셴코 현 법무장관도 입건했다. 갈루셴코는 지난 7월까지 4년 동안 에너지부 장관을 지내며 에너지 분야 자금 흐름을 통제해주는 대가로 민디치에게서 금전적 이득을 챙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이번 사건에 연루된 법무부 장관과 에너지부 장관은 더는 직위를 유지할 수 없다”며 총리에게 두 사람의 해임을 공식 요청하면서 스비틀라나 흐린추크 에너지부 장관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때늦은 대응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대통령실은 사건 초기 민디치의 역할을 축소하다가 의혹이 확산하자 제재하겠다고 말을 바꿨다. 그러나 민디치는 이미 해외로 도주한 상태였다.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2019년 대선 당시 젤렌스키가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의 부패와 족벌주의를 공격했지만 지금 본인이 같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5년 드라마 <국민의 종>에서 부패를 질타하던 교사가 대통령이 되는 주인공 역을 연기했던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이미지를 바탕으로 포로셴코를 꺾고 당선됐다.
시민단체 ‘우크라이나 유권자위원회’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 취임 첫해 크바르탈95 출신 인사와 지인 등 30명 이상이 대통령실, 정부 기관 등의 요직에 임명된 것으로 조사됐다.






![[단독] 오세훈측, 특검에 의견서… “증거는 명태균 주장뿐, 상식적으로 말 안돼”](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2025111351762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