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500억 들여 학습플랫폼 개발했는데…학교선 '구글 클래스룸' 쓴다

2025-10-13

부산을 비롯한 일부 시·도교육청이 자체 학습관리시스템(LMS) 운영을 위해 매년 수십억 원 넘는 예산을 투입했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선 '구글 클래스룸' 등 해외 민간 플랫폼을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LMS의 프로그램 오류나 기능 부족 등으로 교사들이 외면하기 때문이다. LMS는 수업 진도 확인, 출결 관리, 자료 공유 등 온라인으로 학생들의 학습 관리 전반을 도와주는 플랫폼을 말한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실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초·중·고교 23만369개 학급 중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 중인 학급은 15.8%(3만6603개)로 집계됐다. 구글 클래스룸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LMS 중 하나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사용 현황을 집계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부산의 구글 클래스룸 사용 학급 비율은 44.7%(5900개)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뒤이어 제주(36.4%), 인천(31.6%), 전북(24.3%), 대전(21.9%), 충남(21.7%), 전남(20.7%) 순이었다.

이 중 부산과 충남, 전남은 교육청의 자체 LMS를 사용하고 있지만, 구글 클래스룸 사용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경남·부산·전남·충남·충북 등 자체 L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국 6개 시·도교육청이 최근 3년(2023~2025년) 동안 쓴 관련 예산은 528억원에 달한다. 부산에서만 총 75억원 예산이 투입됐다.

하지만 정작 학교 교사들은 콘텐트 부족, 문항 오류 등으로 인해 자체 LMS 사용을 기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한다. 부산의 16년 차 교사 A씨는 “기초학력 강화 목적으로 개발·도입된 BASS에선 문항에서 제시된 선택지의 답이 틀리거나 같은 보기가 나오는 등 오류가 자주 발생하고, 교사와 학생들 사이 자료 공유가 안 되는 등 기능도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해외 민간 기업의 플랫폼을 사용할 경우 학생 개인정보나 학습데이터가 광고·마케팅 등 상업적 목적에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보 유출이나 향후 유료화 전환 시 비용 문제 등에 대한 우려도 있다.

김민전 의원은 “교육부가 국산 LMS의 품질 제고나 통합 LMS 서비스 제공 등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