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디케이몰’ 단전 사태…운영사 자본잠식 상태에 연체액만 100억

2025-10-21

3년 연속 누적 적자 98억·부채 658억…매출보다 이자비용이 더 많아

온비드 경매 20차례 무산, 전주농협 매입도 무산되며 출구전략 실패

전주시 “사태 파악 중…입주업체 모두 철수, 단전 해소 방안 검토”

전주 에코시티 중심상권의 핵심 시설로 불리던 디케이몰(DK몰)의 전력 공급이 끊기며 사실상 운영이 중단됐다.

운영사인 ㈜동경의 심각한 재무 악화가 확인되면서, 단전 사태는 예견된 결과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코리포트가 7월 작성한 기업신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디케이몰 운영사 동경은 (유)석파토건(지분 40%), (유)유백건설(30%), (유)동경건설(30%) 등 세 개 회사가 출자한 부동산 임대·공급업체다.

2024년 말 기준 총자산은 557억3100만 원, 순이익은 –46억2800만 원, 최근 3년간 누적 순손실은 –98억6400만 원으로 집계됐다.

부채는 유동부채 638억7400만 원, 비유동부채 20억1100만 원, 총 658억8500만 원에 달한다. 자본금은 89억 원으로 완전한 자본잠식 상태다.

부채 급증의 주된 원인은 이자비용이었다. 2024년 말 기준 이자비용은 48억7700만 원으로, 2022년(23억6000만 원), 2023년(30억4800만 원)보다 가파르게 늘었다. 업계는 “고금리 여파 속에서 이자 부담이 누적되며 사업이 사실상 멈췄다”고 분석한다.

△매출 29억, 이자비용 48억…‘버는 족족 적자’

2024년 동경의 매출은 29억3600만 원, 영업이익은 4억2400만 원이다. 하지만 부채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연간 46억 원의 순손실을 냈다.

금융권 채무 연체도 이어졌다. 동경은 다올저축은행과 금화상호저축은행에서 빌린 100억 원을 제때 갚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디케이몰 내 입점 매장과의 임대 구조도 수익 악화를 부추겼다. 등기부상 디케이몰은 이마트와 2021년 9월 입점 계약을 맺으며 “연 매출 200억 원 미만 시 임대료를 무상으로 한다”는 조건을 명시했다. 실제로 이마트 매출이 200억 원 안팎에 머물면서 약 2년간 임대료를 받지 못했다.

이후 2023년 10월에서야 연 9억 원의 임대료로 계약이 변경됐지만, 이미 동경의 재무구조는 회복 불능 상태에 가까워졌다.

△매각 실패가 결정타…경매 20차례 유찰

업계에선 매각 실패가 이번 사태의 직접적 원인으로 꼽힌다.

온비드에 따르면, 동경은 올해 6월 10일부터 감정가 926억7600만 원으로 매각을 시도했으나 20차례 모두 유찰됐다.

최근에는 최저입찰가를 538억 원대로 낮췄지만 응찰자는 없었다.

디케이몰 매입을 추진하던 전주농협도 내부 반발에 부딪혔다. 하나로마트 입점을 전제로 인수를 검토했으나, 인근 지역농협과 전북농협본부가 “시장 포화와 사업성 부족”을 이유로 반대해 매입은 무산됐다. 이로써 동경은 사실상 출구전략을 잃게 됐다.

△3억 원 전기요금 미납…입주 상가는 ‘텅’

한전 전북본부 관계자는 “디케이몰 측이 전기료 납부가 불가능하다고 통보해 단전 조치를 취했다”며 이번 달까지 3억 원가량의 요금이 미납된 상태*라고 밝혔다.

디케이몰의 전력 공급이 끊기자 상가 내 입점 업체들은 대부분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상인은 “건물주 측 연락이 두절돼 전기 복구나 보증금 반환 여부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전주시 “사태 파악 중”…늦장대응 비판도

전주시는 “지난주부터 이상 징후를 파악하고 있었지만 단전이 이렇게 갑작스럽게 이뤄질 줄 몰랐다”며 “현장을 확인한 결과 입주 업체는 이미 모두 빠져나간 상태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운영사 동경과 연락을 시도 중이지만 통화가 닿지 않고 있다”며 “한전에 단전 해소 방안을 문의하고, 법적·행정적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시의 이런 설명에도 “사태를 미리 인지하고도 실질적 대응이 없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한 상인은 “전기요금이 밀리고 있었던 건 입주자들도 알고 있었다”며 “행정기관이 사전에 개입했더라면 피해가 줄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일보는 디케이몰 운영사 동경에코하우징㈜ 측에 여러 차례 전화와 문자메시지로 입장을 요청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한때 에코시티 상권의 ‘핵심 앵커몰’로 기대를 모았던 디케이몰은 이제 불 꺼진 유령건물로 남았다.

고금리와 부동산 침체, 그리고 경영 실패가 빚은 이번 사태는 지역 상권의 불안한 현실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