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美 상호관세 협상 성적표, 베트남 20%-라오스 40% ‘웃고 울고’

2025-08-04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월 31일(현지시간)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전날 미국과 한국 양측 간 협상 내용대로 15%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예고한 25% 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극적인 합의를 했다. 유럽연합(EU), 일본의 상호관세율도 15%로 낮아졌다. 영국은 10%를 적용받았다.

이 결과는 대만이 4000억 달러 투자에 20%, 스위스가 39%, 브라질 50% 관세폭탄에 비해 이 정도로 방어한 것이 다행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그렇다면 아세안(ASEAN, 동남아국가연합)은 어떨까?

관세협정 국면에서 아세안에서 극적인 순간이 있었다. 국경에서 교전하던 태국과 캄보디아가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협상 중단” 압박 카드에 “휴전에 동의”한다고 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이후 캄보디아와 태국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권한대행이 말레이시아 대통령 관저에서 휴전에 합의했다. 이후 미국은 관세를 36%에서 19%로 낮추었다.

말레이시아(25->19)와 인도네시아(32->19)와 필리핀(20->19)과 같은 상호관세에 합의했다.

영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첫 번째로 지난 7월 2일 베트남(46->20)과 20%로 타결했다. 트럼프는 “미국 영토로 들어오는 모든 베트남산 상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한다. 제3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 상품에 대해서는 4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세안 중 가장 무거운 합의는 라오스와 미얀마로 40%였다.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은 세율 40% ‘관세 폭탄’을 통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되레 “진심으로 감사하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트럼프가 군사정권의 정당성을 인정해줬다. 진정한 애국 정신으로 조국을 번영으로 이끈 트럼프의 강력한 리더십과 세계 무대서 평화를 증진하기 위한 지속적 노력”을 칭찬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