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복 관세로 미국으로부터 '145%' 관세 폭탄을 맞은 중국에서 제조 원가를 공개하는 영상이 바이럴되고 있다.
15일(현지 시각)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중국 남부의 한 의류 제조업체 직원은 틱톡(TikTok)에 올린 영상에서 “3만 8000달러(약 5400만원)에 판매되는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 버킨백이 우리 공장에서는 1400달러(약 200만원)에 제조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유창한 영어로 가죽 가방을 들고 가죽과 인건비 등 제조 과정별 비용을 설명하면서 중국에서 200만원도 되지 않는 금액으로 상품을 완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의 주장은 중국에서 만들었을 시 원가이며, 에르메스는 실제로 프랑스 여러 공방에서만 제작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틱톡커는 룰루레몬 같은 패션 브랜드가 중국 공장에서 6달러(약 8600원)라는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생산해 미국 소비자에서 100달러(약 14만 3000원)에 판매한다며 ““사람들이 중국에 오는 이유가 이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급 핸드백을 판매한다는 한 중국 공급업체는 영상을 통해 “그냥 우리에게 연락해서 구매하는 게 어떻겠나. 우리가 제시하는 가격을 믿지 못할 것”이라며 구매를 유도하기도 했다.
저렴한 패스트 패션과 저품질의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고급 제품을 저렴하게 제조한다는 것을 알리는 영상들이 확산하면서 실제 중국 제조업체를 통한 구매도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또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기업과 소비자를 중국 공급·제조업체와 연결하는 국경 간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 이커머스 앱 'DH게이트'의 인기도 높아졌다.
앱 정보 제공업체 앱피겨스에 따르면 DH게이트가 이날 오전 기준으로 미국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순위 3위에 올랐다. 불과 나흘 전까지만 해도 비게임 무료 앱 카테고리에서 352위에 머물렀던 앱이 관세 전쟁으로 급상승한 것이다. 다만 이 앱을 이용하더라도 일부 전자제품을 제외하면 중국산 수입품은 상호관세를 적용받는다.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