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폭풍] "해방 아닌 분노의 날"…세계각국 벌집 쑤신듯 반발
유럽 "대서양 양쪽에 피해"…정상들, 일자리·경제 보호 의지
"미국이 가장 큰 대가 치를 것"…일부, 美서비스·기술기업 보복 준비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일(현지시간) 발표한 메가톤급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세계 각국이 "모두가 피해를 볼 것"이라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하겠다면서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기반으로 책정한 국가별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상호관계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는 미국 수출품에 20∼40%대의 고율 관세를 물게 됐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전역의 수입품에 2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통보를 받은 유럽 지도자들은 강력 대응을 시사했다.
베른트 랑게 유럽의회 무역위원장은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이라고 부를지 몰라도, 일반 시민 관점에서 보면 오늘은 '인플레이션의 날'"이라며 미국의 관세를 '부당하며 불법적이며 불균형적 조치'로 규정했다.
유럽의회 제1당 격인 유럽국민당(EPP)의 만프레트 베버 대표도 "미국 친구 여러분, 오늘은 해방의 날이 아니라 분노의 날"이라면서 비판에 가세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는 공정 무역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에서 비롯된 공격이며 대서양 양쪽 모두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며 "유럽은 단결하여 자국의 이익을 수호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공정하고 확실한 대화에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아일랜드의 마이클 마틴 총리도 미국의 관세 결정에 "매우 유감스럽다. 관세는 아무에게도 이롭지 않다고 굳게 믿는다"며 아일랜드 일자리와 경제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는 "필연적으로 서방을 약화하고 다른 글로벌 플레이어를 선호하게 될 무역전쟁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우리는 미국과의 협상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페인의 페드로 산체스 총리는 "스페인은 기업과 근로자를 보호하고 개방된 세계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호관세율 31%를 통보받은 스위스의 카린 켈러 주터 대통령은 "(연방의회는) 다음 단계를 신속하게 결정할 것이다. 국가의 장기적인 경제적 이익이 가장 중요하다. 국제법 준수와 자유무역은 여전히 핵심 가치"라며 신속 대응을 시사했다.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받은 나라들도 반발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호주의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는 "이런 부당한 관세에 대해 가장 큰 대가를 치르게 될 대상은 미국 국민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 정부가 상호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려는 이유"라며 "우리는 물가상승과 성장세 둔화로 이어지는 바닥을 향한 경쟁에 동참하지 않을 것"이라고 미국을 비판했다.
콜롬비아의 라우라 사라비아 외무장관도 "우리는 무엇보다도 국가 산업과 수출업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상호관세 25%를 통보받은 한국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긴급 경제안보전략 TF(태스크포스) 회의'를 개최하고 "글로벌 관세전쟁이 현실로 다가온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며 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행정부가 촉발한 무역 전쟁에 반발하는 세계 각국이 추후 내놓을 보복 조치에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유럽은 미국의 서비스 수출을 집중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유럽이 금융 서비스, 문화 콘텐트, 클라우드 등을 디지털로 수출하면서 전 세계를 상대로 엄청난 흑자를 내는 미국의 서비스 부분을 겨냥해 곤봉을 휘두를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유럽은 앞서 서비스 부문에서 형성된 대미 무역수지 불균형을 거론했는데, EU의 자체 무역방어 수단인 '통상위협대응조치'(Anti-Coercion Instrument·이하 ACI) 활용 가능성이 제기된다는 것이다.
ACI는 EU와 그 회원국에 대해 제3국이 통상 위협을 가한다고 판단되면 서비스, 외국인 직접 투자, 금융시장, 공공조달, 지식재산권의 무역 관련 측면 등에 제한을 가할 수 있는 조치다.
이 조치가 발동되면 구글, 애플, 메타 등 미국 기술 거대 기업의 매출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신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