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강우량 기록·침수 이력 토대로 개정
집수정·맨홀도 관리 강화…“도로 이용자들 안전 확보”

국토교통부가 이상기후 및 극한호우 등에 대응해 도로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배수시설 및 비탈면 건설에 관한 지침을 개정한다고 20일 밝혔다.
국토부는 최근 10년간 강우량 기록과 침수 이력 등을 토대로 정책연구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도로 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을 개정했으며 개정 지침은 오는 21일 국토부 누리집 내 정책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선 국지성 집중호우 또는 극한호우 발생 시 침수위험 저감을 위해 도시 지역 내 침수위험지역이나 하천주변 지하차도 배수시설 설계빈도를 50년에서 100년으로 상향한다.
5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홍수에서 100년에 한 번 발생할 수 있는 홍수 빈도로 상향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지하차도 배수시설 규모가 확장돼 이상기후로 인한 큰 비가 내릴 때에도 홍수 대응능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차도 집수정, 맨홀, 도로배수 집수정 등 도로 주요 배수시설의 관리기준도 강화한다.
지하차도 집수정은 지하차도로 유입되는 물을 신속히 배수하기 위해 집수정 빗물 유입구 단면을 크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맨홀의 경우 침수 시 맨홀 덮개가 열려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맨홀 결합 강화 및 추락 방지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보행자와 차량 이동이 잦은 곳은 맨홀 설치를 피하도록 한다.
도로 배수 집수정도 집수정 주변 경계석을 채색하거나 스티커를 설치해 홍수 시 집수정 위치를 쉽게 파악하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호우로 인한 도로변 비탈면 안전 기회를 위해 산지 부근의 비탈면 배수시설 설계빈도를 20년에서 30년으로 높여 배수 능력을 향상시키고 비탈면 유실로 인한 붕괴를 저감하기 위해 비탈면 토질 특성과 경사도에 따른 식재공법을 세분화한다.
이우제 국토부 도로국장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 발생 등으로부터 도로 이용자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도로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보다 강화된 기준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도로 지하차도 및 비탈면 등 취약구간의 시설물로부터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