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5-2025, 흥국과 망국 사이

2025-01-09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1885년 꽃들이 만발한 4월 3일, 한양의 사대문과 종각(보신각)에 이런 취지의 공고문이 붙어 있다.

정부에서 병원 하나를 설립했는데 북부 재동 외아문(외교부) 북쪽으로 두 번째 집이다. 미국 의사 알렌을 초빙하였고 아울러 의학도와 의약 및 여러 도구를 갖추고 있다. 오늘부터 매일 미시(오후 1-3시)에서 신시(오후 3-5시)까지 병원 문을 열어 약을 줄 것이다.

알렌의 의술은 정교하고 양호한데 특히 외과에 뛰어나서 한 번 진료를 받으면 신통한 효과를 보게 될 것이다. 본 병원에는 남녀가 머물 병실이 있으니 무릇 질병에 걸린 자는 병원에 와서 치료받을 것이며 약값은 나라에서 대줄 것이다. 이를 숙지하여 하등 의심을 품지 말고 치료를 받으러 올지어다.

한편, 당국은 한성부에 지시해 모든 계(契, 동의 상위 조직인 계는 당시 한성에 300여 개가 있었다.)에 공고문을 게시토록 했으며, 지방에도 읍마다 공고하게 했다.(황상익, 《근대의료의 풍경》)이 첫 서양식 병원은 처음엔 광혜원으로 불리다가 곧 제중원으로 개명되었다. 오늘날의 헌법재판소 경내에 있었다고 한다. 의사 알렌의 일기(1885년 4월 10일 자)다.

병원은 어제 개원했는데 첫날 환자는 20명이고, 절단 수술이 필요한 환자는 3명이지만 그들은 아직까지 수술을 거부하고 있다.

한편, 병원 설립의 산파 역할을 했던 서울 주재 미국 대리공사 조지 포크 George Foulk는 미국의 가족에게 보낸 편지에 이렇게 적고 있다.

병원에서는 몹시 흥미로운 일들이 일어납니다. 호레이스 알렌(Horace Allen) 미국 의사는 눈이 안 보이는 사람을 눈 뜨게 하고 청각에 문제가 있는 이를 듣게 합니다. 조선인들에게 기적이 일어나는 것이지요. 귀가 안 들리는 어떤 사람을 말끔히 치료했는데 그건 아주 간단한 일이었습니다. 귀속에 오랫동안 눅져있는 귓밥을 주사기와 온수로 세척했을 뿐이랍니다. 세상에! 20년 묵은 귓밥덩이가 떨어져 나왔다나요. (Samuel Hawley 편찬, 《AMERICA’S MEN IN KOREA》, 조지 포크의 1885년 4월 19일 자 편지, 김선흥 번역)

이것이 1885년 봄 우리네 삶의 모습이다. 1885년과 2025년 사이, 그 짧은 140년 동안에 한국이 얼마나 변했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어느날 우리는 외국인들이 부러워하는 의료선진국이 되었다. 그리고 어느날 와락 허물어졌다. 어찌 의료뿐이랴. 법치와 염치는 더 허물어졌다. 나라는 언제나 흥국과 망국 사이에 있고 우리네 삶은 그 사이에 매달려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