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뇌전증 신약 기술 7800억에 글로벌 수출

2025-10-09

국내에서 개발된 뇌전증 신약 기술이 약 7800억 원에 글로벌 제약사에 수출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정호 의과학대학원 교수의 교원창업기업 소바젠이 난치성 뇌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리보핵산(RNA)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이 기술을 이탈리아 제약사 안젤리니파마에 5억 5000만 달러(약 7800억 원)에 이전한다고 9일 밝혔다.

이 교수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과 악성 뇌종양 같은 뇌 질환의 원인이 뇌 줄기세포에서 생긴 후천적 돌연변이라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국제 학술지 ‘네이처’와 ‘네이처 메디슨’에 각각 2015년, 2018년 발표한 바 있다. 연구팀은 이후 소바젠과 함께 뇌전증을 일으키는 돌연변이 유전자 ‘MTOR’을 직접 겨냥할 수 있는 RNA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했다.

KAIST는 이번 성과가 의과학 연구와 벤처 창업을 결합해 글로벌 제약 시장에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 교수는 “국내 의대는 환자 진료 중심 문화인 반면 KAIST는 혁신과 산업화를 중시하는 연구 문화를 갖추고 혁신적 기초 연구와 신약 기술 수출이라는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달성했다”며 “이번 성과가 앞으로 KAIST 의과학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