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교보교육재단과 함께 민관 협력 교육 프로그램 운영
딥페이크 등 AI 윤리 이슈 주제로 모의법정·토론 수업 진행
디지털 격차 해소 위한 포용적 AI 윤리 교육 지속 확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교보교육재단과 협력해 지난달 31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에서 전국 중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디지털 윤리 토론 캠프 'AI윤리 ON!'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캠프는 청소년이 AI 및 디지털 기술의 윤리적 쟁점을 탐구하고 토론하며 윤리적 관점을 스스로 형성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NIA의 디지털 윤리 교육 콘텐츠, 교보교육재단의 청소년 토론 프로그램, KT 대학생 IT 서포터즈(KIT)의 체험형 활동이 결합된 민관 협력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KT 대학생 IT 서포터즈는 AI 기본 개념과 알고리즘 원리, 데이터 편향 등 복잡한 내용을 학생 눈높이에 맞춘 콘텐츠와 퀴즈로 설명했다. 또 토론과 보드게임을 접목한 AI 모의법정 게임을 통해 윤리적 이슈를 고민하고 논의하는 등 참여형 수업으로 학습 효과를 높였다.

딥페이크를 주제로 생성형 AI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윤리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교육도 진행됐다. 학생들은 딥페이크의 개념과 사례, 관련 법 제도, 범죄 예방·대응 방안 등을 배우고 조별 토론을 통해 올바른 디지털 윤리 의식을 함양했다.
KT는 지난해부터 전국 교육청과 지자체 협력으로 초·중학생 11만 명에게 AI·디지털 윤리 교육을 진행했다. 올해부터는 도서산간 청소년 대상 코딩 수업, 이동형 AI 체험관 'AI Station' 운영 등 맞춤형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오태성 KT ESG경영추진실 상무는 "AI 시대에는 청소년들이 기술 활용뿐 아니라 윤리적 판단과 책임감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양한 AI 윤리 교육을 통해 디지털 포용성을 높이겠다"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