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中 의존 줄었지만…희토류·흑연 등 핵심소재 다변화 '먼 길'

2025-02-20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의 첨단산업 핵심소재 중국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희토류·흑연 등 핵심소재의 수입 다변화·국산화 노력과 함께 국제 공조를 통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0일 중앙일보가 한국무역협회와 함께 주요 핵심소재 16개 품목의 지난해 수입국 분포(중량 기준)를 분석해보니, 9개 품목에서 중국 의존도가 70%를 넘어섰다. 특히 6개 품목은 90% 이상이었다. 이번 분석은 정부가 2023년 12월 ‘공급망 선도 프로젝트’로 분류한 8대 분야 16개 품목을 대상으로 했다. 다만 해당 품목의 대표적인 HS코드(품목 분류)를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실제 수입 중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줄여주는 요소수의 원재료인 산업·차량용 요소는 수입국 다변화에 성공한 대표적인 품목이다. 지난해 한국은 35만8197톤(t)의 요소를 수입 수입했는데, 중국산 비중은 27.1%에 그쳤다. 베트남산이 53.1%로 가장 많고 중국에 이어 일본(8.8%), 카타르(4.7%), 사우디아라비아(3.4%) 순으로 이어졌다. 2023년까지만 해도 88.1%가 중국산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변화다. 이는 중국에서 요소 수출을 통제할 때마다 수급 불안 현상이 반복되면서 정부가 적극적인 다변화 지원 정책에 나선 결과다.

하지만 9개 핵심 소재는 여전히 중국 의존 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기차 등에 쓰이는 희토류 영구자석은 2023년과 지난해 모두 중국산 비중이 99.3%로 같았다. 전자회로 등 첨단산업 제조에 쓰이는 희토류 금속도 같은 기간 84.8%에서 80%로 거의 유사했다. 중국이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70~90%를 장악하고 있고, 채굴·분리·정제 등 단계별 가공 공정과 고부가가치 소재·부품 생산능력까지 갖추고 있어 벗어나기 쉽지 않은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희토류와 영구자석의 경우 미국·유럽 내 신생업체도 생겨나고 있지만, 양산 능력을 확보하기까진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양극재·음극재 등 2차전지 핵심소재로 쓰이는 인조흑연(98.8%), 천연흑연(97.6%), 니켈·코발트·망간(NCM) 전구체(94.1%), 수산화리튬(82.7%) 등도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이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인조흑연은) 원가 이하의 가격까지 제시할 정도로 중국의 글로벌 시장 공세가 거세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무수불산(97.2%)과 네온(74.6%), 경량 금속 소재로 쓰이는 마그네슘괴(99.4%) 등도 중국 수입 비중이 컸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핵심 소재의 특정국 의존도를 낮추는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라 중국이 핵심소재 수출을 통제하는 등 보복 조치를 취하면 한국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내 업체들도 핵심소재 다변화·국산화를 시도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호주계 광업회사 블랙록마이닝과 손잡고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흑연 광산을 개발하기로 했고, 포스코퓨처엠은 인조흑연의 국내 제조를 추진하고 있다. SK온도 국내에서 생산된 수산화리튬을 장기 공급받기로 했다. 다만 중장기적인 계획이다 보니 아직 공급 규모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국제 공조를 통한 대응이 시급하다고 제언한다. 한국 정부는 현재 글로벌 다자 협력체인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의장국을 맡고 있다. 또 페루·아세안(ASEAN)·캐나다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에 ‘에너지·광물 협정’을 추가하는 내용도 검토하고 있다. 신현돈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한국은 자원이 부족한 나라인 만큼 다양한 국제 공급망 네트워크에 참여해 대비해야 한다”며 “요소 다변화 사례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고, 이달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국가자원안보특별법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