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경찰청과 협력해 수천 건의 악성앱을 발견해 조기 차단했다.
SK텔레콤은 16일 경찰청과 함께 지난해 12월부터 3월까지 총 2610건의 약성앱 설치 의심 고객을 확인해, 4개월간 약 1070억 원의 피해를 예방했다고 밝혔다.
이번 악성앱 차단 협력은 먼저 SK텔레콤이 문제가 되는 문자를 발견해 차단 조치를 시행한 후, 경찰이 피해자를 찾아가 악성앱을 직접 삭제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뤄졌다. 먼저 SK텔레콤은 1차적으로 보이스피싱 악성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AI 모델 기반 분석을 통해 악성앱 유포 링크가 포함된 스미싱 문자를 차단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공받은 악성 도메인과 IP를 추적해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이후 SK텔레콤은 경찰청의 영장 집행을 통해 AI 모델 기반의 분석을 통한 악성앱 설치 가능성이 있는 고객군을 추출하고 데이터를 경찰청에 제공했다. 경찰청은 이같은 데이터에 기반해 피해자를 일일이 찾아가 직접 악성앱을 삭제해 피해를 줄였다.
SKT와 경찰청의 이 같은 협력은 악성앱 설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고객을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서 2차적인 금융 사기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했다는 것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최근 횡행하고 있는 스미싱 범죄는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부고, 청첩장 등 다양한 문자 메시지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해당 URL을 누르고 악성앱이 설치되어 개인정보,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방식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악성앱 등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2023년 4472억 원에서 지난해 8545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SKT는 최근 악성앱이 연락처나 문자메시지, 위치 등에 대한 과도한 접근 권한을 요구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소액결제 사기, 비대면계좌 개설 등 금융사기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고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곽병일 경찰청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최근 카드 배송 사칭 피싱 시나리오가 등장하는 등 보이스피싱 조직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수법을 시도하고 있어 모르는 링크에 접속하거나 수상한 어플은 절대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