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1인당 구매액 30만원대로 감소…7월 매출 1조원 하회

2025-08-31

(조세금융신문=김종태 기자) 최근 전 세계에서 K 콘텐츠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큰 폭으로 늘고 있으나 면세점 업황은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일 한국면세점협회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면세점 매출액은 9천199억4천652만원으로, 작년 7월 1조65억268만원보다 8.6% 줄었다.

같은 기간 구매 인원이 236만3천113명에서 258만339명으로 9.2% 증가한 것과 상반된다. 이에 따라 매출액을 구매 인원수로 나눈 1인당 면세 구매액은 42만6천원에서 35만6천원으로 16.4% 감소했다.

'다이궁'(보따리상) 매출 비중이 높았던 2021년만 해도 263만4천원에 이르던 1인당 면세 구매액은 2022년 164만5천원, 2023년 62만3천원, 작년 50만원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올해 1∼7월 1인당 면세 구매액은 43만4천원이다.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며 객수 자체는 늘었으나 구매액은 지속해 감소하고 있다. 지난 7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작년 동기보다 23.1% 늘었고 면세점에서 물품을 구매한 외국인 수도 관광객 수 증가폭과 비슷하게 25.1% 늘었다.

그러나 구매액은 오히려 14.2% 감소했다. 지난 6월과 비교해도 구매 인원은 2.2% 늘었으나 구매액은 22.1% 줄었다. 업계는 면세점의 부진을 소비 패턴의 변화에서 찾는다.

핵심 쇼핑 명소에 있는 올리브영 등의 매장들이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체험존 운영, 결제 편의성 제공 등의 개선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반해 상대적으로 한정된 공간과 상품을 갖춘 면세점의 매력이 근원적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2분기 신라·신세계면세점이 작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한 것과 달리 올리브영과 무신사가 역대 최대 실적을 거둔 것도 이런 해석에 힘을 싣는다.

업계 관계자는 "문화산업에서 한국의 위상이 많이 올라가고 있지만 쇼핑 행태가 변하면서 면세업종은 과거보다 어려워져 '생존의 위기'에 놓였다"며 "내달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는 것을 계기로 콘텐츠와 마케팅을 강화해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런 위기의식은 면세사업자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임대료 갈등에서도 드러난다. 신라·신세계면세점은 면세 업황의 극심한 악화를 이유로 인천공항공사에 임대료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

면세점 측은 공항 여객 수에 비례해 책정되는 임대료가 최근 소비패턴 변화에 따른 구매 금액 감소세를 반영하지 못해 적자가 심화해 현실적으로 운영이 어렵다고 주장한다.

공사 측이 대화나 협의에 나서지 않는 데다 법원에서의 조정도 결렬되면서, 두 면세점이 인천공항에서 철수할 가능성도 제기돼 주목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