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정부, 2028년 메가와트충전시스템(MCS) 도입…“주유소 가듯 5분 내 완충”

2025-05-11

정부가 5분 내 전기차 완충을 목표로 2028년까지 '메가와트충전시스템(MCS)'를 도입하는 계획을 세웠다. 휘발유나 경유 차량 주유 시간에 준하는 급속충전 서비스와 스마트 화재예방시스템을 겸비한 MCS 기술을 표준화해 전기차 전환 수용성을 높인다는 취지다.

환경부는 현재 350㎾ 수준인 전기차 급속충전기 성능을 내년에는 500㎾ 수준으로 개선하고, 2028년까지 1㎿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끌어올려 메가와트급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파워모듈)를 공급하겠다고 11일 밝혔다.

MCS란 8.8톤 이상 대형차량이나 선박을 위한 초급속 충전 시스템이다. MCS 관련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표준이 아직 제정되지 않아, 정부는 드래프트(Draft) 버전으로 MCS 개발을 지원한다. 연내 모든 표준이 완료된 후 MCS 상용화가 진행될 전망이다.

MCS는 충전소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일체형보다는 파워뱅크-디스펜서 분리 구조로 개발될 예정이다. 기존 초급속 충전기와 달리 차량 통신방식 변경으로 인한 통신제어기(SECC), 고발열 처리를 위한 냉각 구조가 필요하다. 95% 효율을 가정한다면 50㎾ 이상 냉각 능력을 갖춰야한다. 국내 적용시에는 한전 인입비용, 기본요금 부담이 가중되므로 다이내믹 로드 밸런싱(DLB), 신재생에너지 연계를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이 필요하다.

류필무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장은 “전기차 화재 포비아가 여전한 상황에서 전기차 보급률이 늘어나는 만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완속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면서 “대안으로 인근 주유소 등에 5분 이내 충전할 수 있는 메가와트급 초고속 충전 인프라를 구축한다면 보다 많은 국민들이 안심하고 전기차 전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1단계로 국내시장에서 기술·안전성을 검증·개선하는 한편, 국내 법규상 안전관리자 상주의무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한다. 2단계로 MCS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북미 등 해외시장을 타깃으로 일반인 출입이 통제되는 화물차용 충전소에 적용할 수 있는 대용량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