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2028년까지 '메가와트충전시스템(MCS)'를 국내 도입할 계획이다. 완속과 급속 충전기의 장·단점을 명확히 구분하고 충전 장소 선호도를 반영해 거주지를 중심으로 완속 충전기를 촘촘히 구축한다. 단계적으로 도심 주유소 등에 MCS를 확대 보급해 충분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조성한다.
국제 무대에서는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이미 MCS 국제표준 제정 절차가 진행 중이다. 유럽 주요 대형 차량 제조업체들의 경우 공공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합작회사 마일런스(Milence)를 설립해 MCS를 공식 채택했다.
다만 MCS는 대형 차량에 탑재되는 대용량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용 충전 규격이 있어, 산업용이 아닌 일반인 대상인 기존 전기차 충전시스템과는 소위 '하위호환'이 불가능하다.
정부는 '인공지능(AI) 기반 고효율 MCS·초급속 충전시스템 개발 및 실증' 국책과제 사업자를 선정해, MCS 기술 표준화에 선제 대응하고 있다. MCS 적용 차량이 단기간에 보급될 수 없는 만큼 국내시장에서 기술·안전성을 검증·개선하는 한편 MCS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북미 등 해외시장을 타깃으로 투 트랙 전략을 전개한다.
반면, 일부 전문가들은 MCS 보급에 앞서 전기차 운전자의 충전 장소 선호도를 반영해 완속충전기를 집·회사·숙박시설을 중심으로 촘촘히 확대 구축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앞서 한국교통연구원이 2세대 전기승용차 충전패턴을 비교한 결과 전기차 운전자의 61%가 주거지(45%)·직장(16%)에서, 39%가 공용충전소에서 충전한 바 있다.
충전업계 관계자는 “장시간 주차하는 장소가 주거지인 만큼 퇴근 후 자택 주차장에서 완속으로 충전하고 출근하는 전기차 운전자가 과반에 가깝다”면서 “급속 충전소 공급이 늘어나면 대낮에 급속 충전 수요가 늘어나, 발전과 전력 소모 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대한민국의 높은 인구밀도와 지하주차장 중심의 주거 환경으로 인해 전기차 보급율이 커질 수록 완속 충전기 수용성에 한계가 있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류필무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장은 “완속과 급속 충전기의 장·단점을 명확히 구분하고 충전 장소 선호도를 반영해 완속과 급속 충전기 보급을 병행하겠다”면서 “급속(50~200㎾), 초급속(350㎾)을 넘어 메가와트(1000㎾)급으로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해 고속도로휴게소, 도심 주유소 등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확대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