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미디어 사업을 전반적으로 손본다. 전 세계 미디어 시장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급속도로 커지는 위기를 타개하기 위함이다. KT는 내년까지 예정된 투자도 지속해 시장에서 활로를 모색한다는 목표다.
KT는 16일 서울 강남구 안다즈 서울 강남 호텔에서 'KT그룹 미디어토크'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KT 미디어 뉴 웨이(New Way)' 전략을 소개했다.

김채희 KT 미디어 부문장(전무)은 "최근 미디어 산업은 소수 글로벌 OTT 중심으로 콘텐츠 제작의 모든 밸류체인이 급속도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콘텐츠에 대한 제작과 투자에 대한 방식, 인터넷TV(IPTV) 사업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고 운을 뗐다.
미디어 부문 역시 이런 위기감에 최근 신설됐다. 김 부문장은 "미디어 부문 신설 배경 자체도 미디어 사업을 그룹의 3대 주요 포트폴리오 중 하나로 만들자는 취지"라며 "과거의 방식을 답습해서는 한계가 있기에 KT 미디어만의 새로운 길을 반드시 찾고자 한다"고 밝혔다.
기술적 변화도 모색한다. KT는 미디어 사업에도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서비스 가치를 제고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부문장은 "가장 중요한 동력 중 하나가 AI가 될 것"이라며 "AI를 통해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고, 플랫폼 차원에서 고객 경험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김 부문장은 "이미 480만 AI 셋톱을 보유하고 있지만, 품질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은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며 "회사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AICT 기업으로 변화를 가속하고 있는 상황, 미디어에 특화된 AI 에이전트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사업 모델(BM)도 전면 수정한다. 김 부문장은 "채널과 VOD 중심의 전통적인 사업 모델에서 나아가 숏폼 등 새로운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이 과정에서 글로벌 사업 기회도 함께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신종수 KT 미디어 전략 본부장은 "미디어 콘텐츠 소비 형태는 점점 더 개인화 되고 있고, 디바이스 역시 훨씬 심리스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KT는 OTT, 패스트(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 FAST), 숏폼 등을 준비하고 있고, 이 영역은 국내 시장보다는 글로벌로 확장 될 수 있어야만 유효한 사업 영역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지식재산권(IP) 경쟁력도 강조했다. 신 본부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플랫폼 IP 파워가 경쟁 국가 대비 월등한 상황에서 글로벌 진출은 IP 리드 측면에서 굉장히 유효한 전략일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미디어 부문 성장 전략으로는 국내외 협업을 꼽았다. 신 본부장은 "KT 그룹 내 순환 구조는 성장과 확산에 있어 한계가 있었다"며 "오픈된 방식으로 외부 플레이어들과 제휴를 통해 생태계를 구축하고 더 큰 플레이어를 만들어 나가는 전략을 구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스튜디오 지니의 콘텐츠 전략에 대해 정근욱 스튜디오 지니 대표는 "스튜디오 지니의 콘텐츠 전략 핵심은 IP"라며 ▲채널 확장 ▲포맷 확장 ▲글로벌 확장 등 세 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정 대표는 "요즘 글로벌 패스트 시장이 굉장히 성장하고 있는데, 이런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유통 사업을 확장하고 이를 통해 아시아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키워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신 본부장은 "2026년까지 3년간 KT 그룹 차원에서 5000억원의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라며 "스튜디오 지니 성장 전략에 맞춰 제작에 대한 투자 규모를 줄이지 않고 지속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