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본경선 후보가 “젠더 이슈를 일부 정치인들이 갈라치기하고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개탄을 금할 수 없다”고 일갈했다.
김 후보는 지난 21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여성정치연구소가 주최한 ‘제21대 대선주자와의 대화: 모두의 성평등, 다시 만난 세계’에서 동덕여대 학생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후보는 “지금 여대생들이 겪고 있는 것은 젠더갈등이 아닌 여성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일방적인 폭력”이라며 “정치인들이 이 문제를 갈라치기하고 자기 편향적·의도적으로 이용하는 행태는 정말 나쁜 행태”라고 지적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한 취준생이 “채용면접과정에서 미혼여성들에게 결혼과 출산 계획을 묻는 경우가 여전히 많다고 한다”고 밝히자 김 후보는 여성가족부 강화를 제시했다.
김 후보는 “여가부 역할을 강화해 그런 면접관을 고발, 처벌해야 개선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디지털 성폭력 근절 단체 ‘리셋’ 활동가의 디지털안전위원회 설치 요구에는 여러 정부 부처가 협력하는 형태의 디지털안전위원회를 강조했다.
김 후보는 “(디지털 성폭력 문제는) 법무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혼자 풀 수 없다. 국무조정실장, 부총리로 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면서 그런 회의에 늘 익숙해 있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이날 비동의 강간죄 공약도 설명했다.
그는 “폭력이나 협박 행위가 없이 이뤄지는 강간이 전체의 62.5%를 차지한다고 한다”며 “그 방법이 그루밍이든, 약이든, 음주든 (여러 방식으로) 벌어지고 있는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피해자 중심에서 봐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비동의 강간죄를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