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가 ‘퇴직연금 도입 20년, DB형에서 DC형으로의 머니무브가 시작됐다’ 보고서에서 국내 퇴직연금이 DB형 중심에서 DC형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7일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투자와연금리포트 제69호’를 통해 DB형 비중이 2012년 73.9%에서 2024년 49.7%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임금격차 축소와 실질임금 상승 둔화로 DB형의 효용이 낮아진 데 따른 것이다.
또한 2015년 규제 전환(포지티브→네거티브)과 위험자산 한도 상향(40%→70%), 2022년 디폴트옵션 도입 등 제도 개선이 DC형 확산을 이끌었다. 승인상품 내 위험자산 편입 비중은 최대 100%까지 가능해졌다.
DC형의 실적배당형 비중은 2024년 23.3%로, 최근 5년간 7.6%포인트 상승했다.
이규성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선임연구원은 “저성장 환경에서는 최종임금보다 분산투자와 자산 리밸런싱이 핵심”이라며 “금융투자교육과 디폴트옵션 개선으로 자산이 스스로 일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해당 리포트는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경기신문 = 오다경 기자 ]


![NH, 생산적·포용금융에 108조 공급 당국에 ‘화답’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6/2H0CKS5I65_1.jpg)
![[단독] ETF 부진에…KB운용, 사업본부 다시 쪼갰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7/2H0D2V5LNJ_3.png)



![[컨콜] 넷마블, 2000억 교환사채 발행…"차입금 상환·재무구조 개선 목적"](https://img.newspim.com/news/2023/06/05/230605043822209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