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 전주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영화 생태계 건강성 회복, 지속가능성을 묻다

2025-05-01

영화진흥위원회 주관 '다큐멘터리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전주포럼 일환으로 1일 개최

조소나 대표 "다큐멘터리 제작 지원 방식 개선 필요"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중요한 화두는 독립과 대안이다. 영화 창작자들이 독립적인 방식으로 영화를 만들 수 있도록 영화 시장 자체의 변화를 모색하자는 취지이다. 이런 흐름을 반영하듯 영화진흥위원회(kofic)가 다큐멘터리 영화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과 지속가능성을 들여다보는 전주포럼을 1일 오후 베스트웨스턴플러스 전주호텔에서 열었다.

‘다큐멘터리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를 주제로 열린 포럼은 한국 다큐멘터리의 제작방식과 배급, 유통, 관객 발굴과 신진 창작자들의 미래 비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장병원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프로그래머의 사회로 진행된 포럼의 첫 번째 주제발표자로 나선 조소나 필름소나 대표는 다큐멘터리 제작과 지원 방식이 달리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영진위 등 각 기관에서 영화 제작을 위해 지원되는 ‘기획개발비’를 받기 위해 창작자들은 최소 1년 이상 피칭에만 매달려야 하는 산업 구조로 인해 다큐멘터리 제작 기간이 배로 늘어난다고 꼬집었다.

조소나 대표는 “1000만원의 기획개발비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피칭’을 해야만 한다. 그런데 피칭이라는 것이 프로젝트의 기획 의도와 제작 계획 등을 정리해 잠재적 투자자에게 소개하고 설득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그만큼 인력이 필요하고 공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결국 기획개발비 1000만원 받기 위해 그만큼의 예산과 시간을 투자해야 피칭 때 보여줄 작업물이 완성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구조로 감독과 프로듀서 등 영화제작의 키크루(Key crew)로 불리는 이들은 무보수로 일을 해야 하는 일이 다반사라고 했다.

특히 기획개발비 지원이 중요한 신진창작자들은 자기 숙성의 시간 없이 기관 제도에 맞춰 움직이다 수년이 흐른 경우가 왕왕 발생한다고 토로했다. 때문에 장편영화 기획개발이 아닌, 단편영화 기획개발 지원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최우영 프로듀서도 “(다큐멘터리) 제작비용을 늘려주던가 제작기간을 늘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관에서 기획개발비를 지원 받은 다큐멘터리 창작자들이 1년 안에 작업물을 완성하기엔 굉장히 어려운 산업 구조이기 때문이다. 공공재원으로 제작비를 지원받으면 모든 걸 1년 안에 끝내야 한다는 부담감이 커 최근 한국 다큐멘터리 창작자들은 해외 기획개발 지원을 먼저 두드린다고 설명했다.

최 프로듀서는 “한국에서는 영화 촬영이 끝났다고 얘기하면 영화제작의 70% 이상 진행됐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반절 정도 진행됐네?’로 인지한다”며 “다큐멘터리 영화는 촬영도 중요하지만, 편집에 굉장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작 기간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 전주포럼 프로그램 일환으로 영화진흥위원회가 주관한 이번 세미나 내용은 향후 한국 다큐멘터리 발전을 위한 장기방향 설정, 2026년 이후 다큐멘터리 지원 제도의 실효적 현실화 등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국제영화제 #전주포럼 #다큐멘터리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영진위

박은 parkeun90@naver.com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