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 아동·청소년 비만율이 올해 처음으로 저체중율을 넘어섰다.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은 9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를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규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19세 아동·청소년의 저체중율은 2000년 13%에서 올해 9.2%로 줄어든 반면, 비만율은 같은 기간 3%에서 9.4%로 세 배 이상 늘었다. 이로써 전 세계 아동·청소년 10명 중 1명꼴인 1억8800만명이 비만에 시달리고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비만율이 저체중율을 앞질렀다.
원인은 기업의 비윤리적 마케팅
유니세프는 비만 증가의 원인을 개인의 식습관이 아닌 기업의 비윤리적 마케팅으로 지적했다. 유니세프 영양 분야 법률 전문가 캐서린 섀츠는 "아이들이 학교에서도 설탕이 많은 음료와 짠 스낵 광고에 무분별하게 노출된다"고 밝혔다.
170개국 아동·청소년 6만4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5%가 최근 일주일간 탄산음료, 스낵, 패스트푸드 광고를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정크푸드가 신선한 과일·채소·단백질보다 저렴해 가정의 식단에서 신선식품을 대체하는 현상도 문제로 꼽혔다.
가공식품이 비만 유도
비만은 과거 선진국 중심 문제였으나, 2000년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특히 태평양 섬나라에서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니우에 38%, 쿡 제도 37%, 나우루 33%에 달했다. 이는 전통 식단에서 값싸고 편리한 수입 가공식품으로 전환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유니세프는 이번 보고서에서 아동·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은 "사회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단순한 운동만으로는 해로운 식단의 악영향을 상쇄할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정크푸드 광고 제한, 기업 대상 세금 부과, 신선 농산물 생산 장려 등 구속력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