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업계, 금융당국 부동산PF 고강도 정책에 '기대반 의구심반'

2025-01-31

금감원, PF 사업장 정보 공개 .. 빠른 정상화 '채찍질'

저축은행업계 "매수자 유인" VS "실제 매각까진 어려워"

금융당국이 부동산 PF(파이낸싱프로젝트) 부실 사업장 정리를 위한 고강도 정책을 펼치는 가운데 저축은행 업계는 일단 당국 눈치 보기에 나선 모양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3일 'PF사업장 정보 공개 플랫폼 구축 및 합동 매각 설명회'를 개최했다. 금융당국은 매각을 추진 중인 PF사업장 정보를 시장에 제공해 부실사업장 정리에 속도감을 준다는 계획이다. 투자 검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잠재매수자를 끌어들여 공경매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PF사업장 면적, 소재지, 감정가액, 경공매 진행 현황, 신탁사와 대리금융회사 연락처 등의 정보가 담긴 ‘매각 추진 사업장 현황 리스트’를 공개했다. 잠재 매수자가 금감원이 제공한 기초 정보를 보고 필요하다면 금융 회사에 연락해 직접 추가 상담도 받을 수 있다.

금감원이 제공한 매각 추진 사업장 현황 리스트를 보면 지난해 9월 30일 기준 자산 기준 상위 10개 저축은행(SBI, OK, 한국투자, 웰컴, 애큐온, 다올, 페퍼, 신한, 하나, 상상인)을 기준으로 SBI 저축은행을 제외한 저축은행이 대리금융회사로 이름을 올렸다.

상위 9개 저축은행 중 대리금융회사로 이름을 가장 많이 올린 곳은 한국투자저축은행이다. 한국투자저축은행은 17개로 가장 많은 매각 사업장을 보유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웰컴(12개), 오케이(6개), 페퍼(3개) 다올·상상인(2개) 신한·애큐온·하나(1개) 순이다.

금융당국으로부터 재정건전성 요구를 받은 저축은행 업계 전반에서는 일단 금융당국이 마련한 정보 공개 플랫폼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잠재 매수자 유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금융당국의 정책에 동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10위권 저축은행 관계자도 “대주단 업권 중에서도 캐피탈이나 증권사에 비하면 저축은행은 손실 가능성이 적고 원금 회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상황이 좋다”며 “플랫폼에 정보가 공개되고 매각 활동이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반면 잠재 매수자 유인이 실제 매각까지 이어질 지 미지수라는 업계 내 다른 의견도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들이 재정건전성과 같은 지표 관리를 위해 금융당국 기준에 맞추려는 분위기지만 부동산과 건설 시장 자체가 좋지 않기 때문에 유찰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1~2년만 버티면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면서 채권도 살아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금융당국) 기준에 응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도 "일단 부실채권을 정리해야 한다는 방향은 동감한다"면서도 "실제 매각은 시장의 판단에 달려 있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저축은행들이 금융당국의 정책 방향에 동감하더라도 시장 자체를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얼마나 성과를 낼지는 미지수라는 평가다.

한편 금융당국은 부실사업장 정보를 공개하며 사실상 구조조정 마지노선 타임라인을 제공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회사가 금융당국에 제출한 PF 부실사업장 정리 예정일로부터 한 달이 지나기 전에 다음 회차 최저 입찰가를 적용해 경공매 재응찰을 개시해야 한다. 유찰되면 더 높은 수준의 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사실상 6개월 이내에 부실채권을 정리하라는 경고장을 보낸 셈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