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비운 자리, 현대차가 채운다

2025-10-17

비중국 시장서 테슬라 인도량 13% 감소

현대차그룹 13.5%↑ '실속형 전략 통해'

[서울=뉴스핌] 이찬우 기자 =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무게중심이 바뀌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비(非)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인도량이 두 자릿수 감소한 반면, 현대차그룹은 13.5% 늘며 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단일 모델 전략의 테슬라가 수요 둔화의 벽에 부딪힌 사이, 현대차그룹은 '실속형 전기차' 전략으로 틈새를 파고들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 테슬라, 13% 감소…전략 한계 드러나

17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1~8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은 총 474만4000대로 전년 대비 25.7% 증가했다. 하지만 테슬라는 같은 기간 62만4000대 인도에 그치며 전년 대비 13.1% 줄었다.

주력 모델인 모델Y(-7.6%)와 모델3(-16.8%)의 동반 하락이 뚜렷했다. 고급 세단 모델S(-59.6%), 모델X(-44.2%) 역시 판매 부진을 면치 못했고, 기대를 모았던 사이버트럭도 1만5000대 수준으로 전년 대비 26.4% 감소했다.

업계에선 "신차 부재와 가격 인하 피로감, 고가 모델 중심 전략의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테슬라가 비중국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방어에 실패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 현대차그룹, '실속형 전기차'로 틈새 공략

반면 현대차그룹은 41만3000대(전년 대비 +13.5%)를 기록하며 테슬라를 바짝 추격했다. 아이오닉5와 EV6 등 주력 모델의 안정적인 수요에 더해, EV3와 캐스퍼EV 등 소형 전기차의 판매 확대로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EV3는 유럽과 아시아 신흥시장에서 합리적인 가격대와 주행 효율성을 앞세워 호평을 받고 있으며, 캐스퍼EV는 도심형 수요를 흡수하며 신규 고객층을 넓히고 있다.

업계 전문가는 "테슬라가 빠진 중저가 시장을 현대차가 빠르게 채우고 있다"며 "전동화 시장의 체력이 실속형 모델 중심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현대차가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포스트 테슬라' 시대, 현대차 전략 어디로

현대차그룹은 단기적으로 '전기차 라인업의 폭 확대'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기아 EV3·EV4·EV5 등 중소형 모델을 통해 가격대별 전기차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고, 북미 시장에서는 현지 생산 비중을 높여 관세 회피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또 전용 플랫폼 'E-GMP' 적용 모델과 800V 초고속 충전 기술 고도화, 차세대 배터리(리튬메탈·전고체) 개발을 병행하며 기술 경쟁력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전기차-하이브리드 병행 전략' 을 유지하면서 수익성과 점유율의 균형을 추구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고가 시장에서 한계를 드러낸 가운데, 현대차그룹은 현실적인 가격·충전 인프라·정책 대응력을 기반으로 포스트 테슬라 시대의 주도권을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SNE리서치는 "비중국 전기차 시장의 성패는 원가 경쟁력과 현지 정책 적응력에 달려 있다"며 "고가 프리미엄 전략보다는 가격과 효율을 중시하는 실속형 모델이 향후 시장을 이끌 것"이라고 분석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