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 김창수 회장, 7000억대 내부거래 논란…공정위 사익편취 규제 '타킷' 되나

2025-10-16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아웃도어 브랜드 MLB·디스커버리 등을 보유한 패션기업 F&F(회장 김창수)가 대규모 내부거래 구조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사익편취’ 감시망에 오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총수 일가 중심의 절대적 지배력과 반복적인 내부거래, 그리고 2세 승계 구도가 맞물리며 ‘이익 편취’ 구조를 공고히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내부거래 비중 40%…중견그룹 평균의 두 배

16일 재계에 따르면 F&F의 지난해 별도 기준 매출은 1조7463억원으로, 이 가운데 7048억원(40.4%)이 내부거래에서 발생했다. 이는 중견그룹 평균 내부거래 비중(18.3%)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연결 기준으로도 매출 1조8960억원 중 6075억원(32%)이 내부거래로 집계됐다.

특히 중국 법인 F&F차이나 매출이 5713억원, 홍콩 등 기타 해외 계열사까지 합치면 약 5890억원에 이른다. 그룹 내 거래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의미다.

▶상표권료만 500억…‘지주사 수익 이전’ 구조 고착

지주사 F&F홀딩스는 지난해 브랜드 사용료(상표권료)로 503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사업회사 F&F는 제품을 제조해 해외 법인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지주사에 상표권료를 지급한다. 이 과정에서 비용은 사업회사에 남고, 수익은 지주사로 이전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문제는 이 상표권료의 산정 근거와 시장 비교 기준이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공정거래법 제47조는 ▲총수 일가가 20% 이상 지분을 보유한 회사와 ▲그 회사가 50% 초과 지분을 가진 하위 계열사 간 거래를 사익편취 규제 대상으로 포함하고 있다.

▶김창수 회장, 그룹 핵심 보직 독점…‘절대권력’ 우려

김창수 회장은 F&F홀딩스 지분 91.71%(본인 83.94% + 특수관계인 7.77%)를 보유하며 그룹 지배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사업회사 F&F 지분 역시 직접 및 우호 지분을 합쳐 약 32.5%를 확보했다.

그는 ▲F&F홀딩스 회장 ▲F&F 대표이사 ▲이사회 의장 ▲ESG위원회 위원장 등 그룹 주요 직위를 모두 겸직하고 있다. 지난해 상정된 이사회 안건 17건이 모두 만장일치로 통과되며, 견제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공정위, ‘5조원 룰’ 완화 추진…F&F 직격 가능성

공정위는 2024년부터 자산총액 5조원 이상 대기업집단이 아니더라도 총수 일가 사익편취 규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F&F그룹의 자산총액은 약 4조8000억원으로, 규제 문턱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다. 규제 범위가 확대될 경우, F&F홀딩스의 상표권 거래·F&F차이나의 공급 계약·가족회사 간 용역거래 등이 모두 조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재계 한 관계자는 “지주사 중심의 내부거래 구조가 지속된다면, 공정위의 직권조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오너 2세 김승범 상무, 에프앤코 통해 ‘승계 포석’

김창수 회장의 장남 김승범 상무가 이끄는 에프앤코(F&CO)는 최근 5년간 급성장했다. 2018년 매출 914억원, 영업손실 6억원에서 2023년에는 매출 1946억원, 영업이익 273억원으로 각각 2배, 45배 증가했다.

김 상무는 에프앤코 지분 88.96%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회사는 김 회장 일가 100% 개인회사다.

화장품 브랜드 ‘바닐라코’를 앞세워 그룹 내 독립 축으로 성장했지만, 일각에서는 “승계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글로벌 성공’ 뒤에 자리한 구조적 리스크

F&F는 국내 패션기업 중 가장 빠르게 글로벌 시장에 안착한 기업으로 꼽힌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내부거래 의존도, 상표권료 편중, 오너 중심 경영, 승계 이슈 등 복합적 리스크가 공존한다.

업계 관계자는 “김창수 회장의 절대적 지배 구조가 계속 유지된다면, F&F는 향후 공정위 조사와 시장 신뢰 리스크를 동시에 맞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