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책] 동화 읽는 늙은이

2024-09-20

동화작가 김태영 님이 얼마 전에 발간한 동화집 ‘할리우드 불러바드의 별’을 반갑고 재미있게 읽었다. 이 동네 아동문학이 시름시름 빈사 상태(?)인 것으로 보여 매우 안타깝던 참이어서 더욱 반가웠던 것 같다.

책에 실린 12편의 작품마다 흥미진진하고 시원하게 펼쳐지는 꿈과 상상의 세계에 함께 하는 동안, 고달프게 살면서 속절없이 삭막해진 마음 밭에 단비가 내린 듯 촉촉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아련한 어린 시절이 그리워지며 마음이 깨끗해지는 것 같기도 했다. 바로 이런 것이 동화의 힘이다. 나이 든 늙은이가 동화를 읽으며 기쁨을 느끼는 이유이기도 하다.

김태영의 동화는 우리를 신바람 나는 꿈과 환상의 세계로 안내한다. 할리우드 배우가 되고픈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춤 연습을 하는 강아지와 미남 거지, 밤이면 공룡으로 변신해서 흥겹게 나들이 가는 팜트리, 작은 배만큼이나 커진 물고기와 휠체어를 탄 소년의 만남, 데스밸리에 사는 짱구돌맹이와 화석이 된 분홍 새우의 사랑, 갑자기 내린 비를 맞아 잔디밭에 떨어진 별 가족 이야기, 인디언 마을의 인형과 당나귀의 우정 등등….

막연한 옛날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우리가 사는 이곳을 무대로 펼쳐지는 이야기들이라서 한층 친근감이 느껴진다. 현재 할리우드 불러바드의 한 아파트에 사는 작가가 그 거리에서 살면서 만나고 느낀 이야기를 동심의 세계에서 새롭게 엮어 쓴 창작동화들로, 작가의 상상력은 그 할리우드 불러바드에서 어릴 적 놀던 영산강을 오가며 펼쳐진다. 작가 자신이 직접 그림까지 그려 실감을 더 했다.

김태영의 동화에서는 사람과 동물, 식물, 바위, 별 등이 서로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며, 서로를 돕고 의지하는 우주적 사랑이 자연스럽게 펼쳐진다. 그러면서 인생을 곱씹게 하는 힘을 가진 ‘어른을 위한 동화’다.

미주 이민사회에서 아동문학이 설 자리가 마땅치 않은 것은 독자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태어나 자란 우리 2세들은 한글 문학작품을 자유롭게 읽고 공감할만한 한국어 실력을 갖추지 못했다. 그리고 동화책보다 훨씬 더 재미있고 짜릿한 것이 주위에 널려 있다. 그러니 어른들이라도 읽어주면 좋으련만, 그걸 기대하기는 어렵다. 엄마가 아이에게 다정한 목소리로 동화를 읽어주는 장면은 정말 꿈과 같다.

이렇게 척박한 현실에서도 미주 아동문학계는 한동안 활발하게 움직였다. 좋은 작품도 상당히 나왔다. 1980년대 초반 고(故) 오영민 선생을 비롯해 남소희, 황영애 같은 분들이 활발하게 의미있는 작품을 발표했고, 2003년에는 ‘미주 한국아동문학가협회’가 발족하여 회원작품집 ‘미주아동문학’을 10호까지 발간했다. 김사빈, 김정숙, 박사라, 박심성, 백리디아, 이송희, 이희숙, 한혜영 같은 여러 작가들의 개인작품집도 활발하게 출간되었다.

내 개인적인 소견을 말한다면, 이민문학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작품으로 오영민 선생의 ‘이민 간 아이’, 남소희의 ‘보석상자’, 황영애의 ‘내가 누구예요’, 홍영순의 ‘팬케이크 굽는 아이들’, 한혜영의 ‘뉴욕으로 가는 기차’, 신정순의 ‘착한 갱 아가씨’, 정해정의 ‘빛이 내리는 집’ 등을 빼놓을 수 없겠다. (물론 그 밖에도 내가 모르는 중요한 작품들이 더 있을 것이다.)

아동문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란다. 어린이는 어른의 선생이고, 어릴 적 기억은 평생을 가기 때문이다. 삶이 팍팍하고 답답할 때면 나는 동화를 찾아 읽는다. 톨스토이의 우화나 알퐁스 도데, 마해송의 동화를 읽으면 마음이 차분해지고 새로운 힘이 솟는다. 어린이 마음, 꿈의 힘을 믿는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