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학계와의 협력 증대를 통한 글로벌 도약
OA 기반 논문 품질과 국제적 위상 제고
연구 윤리와 투명성 확보를 위한 AI 기술 도입
[서울=뉴스핌] 정태선 기자 = 글로벌 오픈 액세스(OA) 학술출판사 MDPI가 '서울 선언'을 발표하고, 한국 연구 생태계와의 협력을 본격화한다.
8일 MDPI에 따르면, 최근 스테판 토체프(Stefan Tochev) CEO의 방한을 계기로 MDPI는 ▲연구 진실성과 투명성 확보 ▲한국 학계와의 긴밀한 파트너십 ▲OA 기반 한국 논문의 영향력 확대를 골자로 한 '서울 선언'을 채택했다.
토체프 CEO는 "한국은 MDPI 논문 게재량 세계 16위, 인용 수는 상위 20개국 중 6위에 해당할 만큼 연구 영향력이 크다"며 "한국 연구자와 정부기관, 학계에 대한 지속적 소통과 지원 의지를 선언하게 됐다"고 밝혔다.
MDPI는 1996년 설립 이후 한국에서만 9만 편 이상의 논문을 OA로 출판했으며, 2024년 한 해에만 약 1만1000편이 게재되며 국내 최대 OA 출판 플랫폼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 4월 서울에 한국 지사를 설립한 이후 대구, 평창, 제주 등에서 열리는 학술대회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현재 국내 11개 대학기관과 IOAP(Institutional Open Access Program) 협약을 통해 논문 게재료(APC) 할인 등의 혜택도 제공 중이다.
MDPI는 논문 품질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2024년 저널 인용 보고서(JCR)에 따르면 MDPI 저널 중 약 300개가 임팩트 팩터를 획득했고, 이 중 193개가 Q1 또는 Q2 등급에 포함됐다. 이는 스프링거 네이처보다 많은 수치로, 엘스비어에 이어 세계 2위다.
동시에 SCOPUS 인용지수(CiteScore)를 받은 322개 저널 중 88%가 Q1 또는 Q2에 해당해 MDPI 저널의 질적 우수성을 재확인했다.
연구 윤리와 투명성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동료심사 강화 도구를 개발하고 있으며, STM의 인테그리티 허브, United2Act 등 글로벌 윤리 이니셔티브에도 참여하고 있다.
토체프 CEO는 "12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한 40명 이상의 노벨상 수상자부터 젊은 연구자까지 포용하는 출판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지리적·경제적 장벽 없이 누구나 과학 지식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비전"이라고 강조했다.
MDPI는 오는 12일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MDPI 서울 살롱'을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는 의학·AI 분야의 출판 윤리와 최신 동향이 논의될 예정이며, 이는 '서울 선언'의 실질적 실천 단계로 평가된다.

wind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