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발레단 ‘카멜리아 레이디’ 전막 초연···‘알쓸신잡’ 리뷰&프리뷰

2025-05-08

1847년 3월16일 프랑스 파리. ‘경매(AUCTION)’라고 쓰인 팻말이 놓여있는 한 집의 응접실. 검정색 옷을 입은 손님들이 오가는 동안 응접실 내 집기들이 하나둘씩 치워진다. 이곳은 유품 경매 현장으로 집 주인 마르그리트(조연재 분)는 사진 하나만 덩그러니 남겨둔 채 세상을 떠났다. 이윽고 한 젊은 남자가 헐레벌떡 뛰어 들어온다. 연인이 세상을 떠난 충격으로 넋을 잃은 아르망(변성완 분)은 가쁘게 몰아쉬던 숨을 고르며 지난날을 회상한다.

지난 7일 아시아 최초로 전막공연의 막을 올린 국립발레단 <카멜리아 레이디>의 프롤로그다. 1978년 존 노이마이어의 안무로 독일 슈투트가르트발레단에서 초연된 지 47년 만에 강수진 단장의 국립발레단에서 무대에 올렸다. <카멜리아 레이디>와 마르그리트 역은 1999년 강 단장에게 무용계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 최고 여성무용수상을 안겨준 작품이자 배역이다. 강 단장은 주역 발레리나에서 이제는 단장 겸 예술감독 자격으로 작품을 한국 무대에 선보였다.

‘살아있는 안무계의 전설’로 불리는 노이마이어의 <카멜리아 레이디>는 연극적인 요소가 중심을 이루는 ‘드라마 발레’다. 극적인 전개가 중요한 드라마 발레인 만큼 공연 관람 전 미리 몇 가지를 알아두면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

발레 작품의 ‘바깥’ 배경을 먼저 알아둘 필요가 있다. ‘춘희(椿姬)’라는 일본어 번역 제목으로도 알려진 프랑스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소설 <동백꽃의 여인>이 원전이다. 뒤마 피스는 <삼총사> 등으로 유명한 소설가·극작가인 알렉상드르 뒤마의 아들이다. 상류층 남성과 계약을 맺고 부유한 생활을 보장받는 정부(情婦)를 일컫는 ‘코르티잔’ 마리 뒤플레시스를 사랑한 뒤마 피스의 자전적 이야기가 소설의 바탕이다. 주세페 베르디는 이 소설을 토대로 만든 연극에 감명을 받고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를 만들었다. 소설이 나온 지 130년 뒤 노이마이어는 발레 작품을 탄생시켰다.

다음은 발레 작품 ‘내부’의 설정이다. 이야기 속에 이야기가 펼쳐지는 액자식 구성이자 ‘극중극’ 형태를 띈다. 발레 공연도 액자 속에 들어간다. 복잡한 설정 때문에 사전정보가 충분히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연을 봤다가는 헷갈리기 십상이다. 액자 바깥에는 살아 있는 아르망이 등장한다. 액자 속은 생전 마르그리트와 아르망의 사랑 이야기다. 액자 안에서는 <마농 레스코>라는 발레 공연이 바리에테 극장에서 열리는데, 이 발레 공연의 남녀 주인공들은 아르망과 마르그리트의 운명을 암시한다. 현재 시점과 회상 시점은 무대 중간에 있는 반투명 막을 통해 앞과 뒤로 구분된다.

노이마이어 안무가는 이에 대해 “뒤마의 소설에 다층원리라는 영화적 요소가 내포돼 있다”며 “발레 무대에서도 기억과 생각의 장면을 전환하거나 중첩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관객에게는 자칫 어려울 수 있지만, 노이마이어는 “여러 서사가 얽혀 있는 중첩의 원리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작품 구성 요소”라고 했다.

②‘듣고 본다’ : 동병상련의 동시대 감성, 쇼팽

고전 발레에서도 그렇지만 이 작품에서도 음악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피아노 선율이 주를 이루는 프레데리크 쇼팽의 음악을 썼다. 피아노는 무대 아래 ‘오케스트라 피트’에도 있지만 무대 위 오브제로도 쓰였다. 마르쿠스 레티넨이 지휘하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연주에 폴란드 피아니스트 미할 비알크와 박종화 서울대 교수가 협연했다.

총 3막으로 구성된 공연의 1막에선 쇼핑 피아노협주곡 2번이 울려 퍼진다. 두 주인공 사이에 사랑이 싹튼 뒤 격정적이면서도 서정적인 감정과 감미로운 연주가 잘 어우러진다. 2막에서는 오케스트라는 빠지고 피아노 건반 소리만 울려 퍼진다. 두 주인공의 불안한 미래와 혼돈스러운 감정이 소나타 3번 라르고 등에 녹아 흐른다.

노이마이어는 애초부터 베르디의 오페라 음악보다 원작 소설과 동시대에 살았던 쇼팽의 곡을 염두에 뒀다고 한다. 화려한 음악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폐결핵을 앓았던 쇼팽은 화려한 삶과 불치병을 동시에 겪은 마르그리트를 연상케 한다.

공연 관람 전 유튜브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카멜리아 레이디’ 플레이리스트를 듣고 간다면 발레 공연 분위기에 금세 빠져들 수 있다.

③‘보면서 본다’ : 색깔별 파드되

공연 예술의 알맹이는 현장성이다. 아무리 사전정보와 준비가 철저해도 현장에서 집중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카멜리아 레이디> 1~3막에서도 발레 공연의 꽃인 남녀 주역의 파드되(2인무)가 펼쳐진다. 마르그리트의 의상 색깔에 따라 각각 퍼플·화이트·블랙 파드되로 각각 불린다. 1막은 사랑에 빠지는 두 사람, 2막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며 행복해 하는 두 사람, 3막은 파국적 운명을 앞에 둔 두 사람이 몸짓으로 상황과 감정을 표출한다. 마르그리트의 의상이 11번 바뀌는 것을 포함해 당대 프랑스 사교계의 다양한 복식을 보는 재미도 있다. 이날 개막 공연에서는 지난 1월 국립발레단 수석으로 승격한 조연재와 ‘발레 속 발레’의 주역 마농의 김별의 연기가 특히 호평을 받았다.

11일까지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인터미션 포함 170분.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