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통일부 부처 명칭 변경과 관련해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며 “한반도부가 대안 중 하나”라고 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통일부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평화통일부’를 제안하는 여당 의원의 질의에 “좋은 대안”이라고 답했다. 북한과의 대화를 견인하기 위해 한·미 연합훈련을 연기하는 방안에 대해선 “앞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정은이 2023년 말 선언한 남북 ‘적대적 두 국가론’에 대해서는 “강대강의 산물”이라며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한 북의 대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우리의 주적이라는 명제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며 “(북한은 주적이 아닌) 위협”이라면서다.
정 후보자는 국회 추천이 이뤄지지 않아 북한인권재단이 출범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인도적 지원 병행 없이 공세적으로 북한 인권을 강조하는 건 문제가 있다”며 “만일 (북한) 최고인민회의가 ‘남조선 인권법’을 제정하고 남한 인권 문제에 개입하면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고 이를 내부 문제 간섭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다만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 문제 제기를 내정 간섭으로 보는 건 국제 인권 규범에 어긋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태양광 사업 이해충돌 논란과 관련해 정 후보자는 “제 아내가 소유한 태양광 발전시설은 중고 태양광 발전시설로 생존형, 생계형 호구지책으로 생활비 마련을 위해 매입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자신이 공동발의한 ‘영농형 태양광 지원법’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