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통계청이 단기적인 지역 경기 변동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분기별 지역내총생산(GRDP) 지표 개발을 완료하고, 오는 6월부터 1분기 수치를 공표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역 경제 동향을 보다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연도별 GRDP 잠정치를 다음 해 12월, 확정치를 그다음 해 12월에 발표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번 개편을 통해 분기별 GRDP를 해당 분기 종료 후 90일 이내에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연간 속보치 역시 기존보다 9개월 앞당겨 이듬해 3월에 발표된다.
통계청은 분기별 GRDP를 산출하기 위해 산업활동동향의 지역별·산업별 생산지수를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부족한 부분은 행정자료 등을 통해 보완할 계획이다. 또한, 연간 GRDP 잠정치 및 확정치와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국제기구 권고안인 '비례덴톤법'을 적용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더욱 신속한 경제정책 수립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통계청은 "분기별 GRDP는 지역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국가 균형발전의 핵심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며 "지역 경기의 상승, 하강, 전환을 신속하게 진단해 경제 분석 및 연구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열린 공동 포럼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GRDP가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의 지방균형발전 정책은 수도권 집중화를 완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서울에 준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지방소멸을 막는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도 기조연설에서 지방자치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성을 역설하며 "지방자치단체 대신 지방정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자치입법권·재정권·조직권·계획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지역균형발전의 실질적 대안을 모색하는 논의가 진행됐다.
남창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부원장은 "인구 500만~1천만명 규모의 지역 단위로 행정을 통합하고 지방분권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으며, 안기돈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방소멸 방지를 위한 정책은 인구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별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