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비대면 수업…교수가 "너무 똑같이 내지 말라" 공지하기도
연세대학교에서 AI(인공지능)를 이용한 집단 부정행위의 파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다른 수업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11일 대학생 온라인커뮤니티 '에브리타임' 연세대 게시판에서 남겨진 지난 1학기 강의 평가에는 과제나 시험에 AI를 사용했다는 적나라한 후기들이 어렵지 않게 검색됐다.
'인공지능과 금융공학'을 수강했다고 밝힌 한 학생은 "족보에 있는 것을 GPT 돌려서 형식 정리 후 제출했다"며 "초반에 사람들이 너무 똑같이 내서, 똑같이 내지 말라는 공지가 올라왔다. 조금 변형하시길"이라고 적었다.
이 수업은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강의이며, 100점 만점 중 출석 52점, 주별 과제 12점, 기말과제 36점으로 평가가 이뤄진다. 수강생 입장에선 제대로 된 평가 없이 AI로 만든 과제물만으로 한 학기를 이수할 수 있는 셈이다.

역시 사전녹화 동영상으로 진행되는 '데이터마이닝'이라는 수업도 상황은 비슷해 보였다. 이 과목의 경우 기말고사 1차례를 오프라인에서 치른다고 강의계획서에 공지했다.
하지만 한 수강생은 강의 평가에 "정말로 모두가 코드 작성 과정에서 AI를 사용하지 않았는지 확신할 수 없다"며 "시험 전에 따로 검사도 하지 않았다. 차라리 코딩 환경에 제한을 두었다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양심 있게 시험을 치른 입장에서, AI 사용 방지 조치가 없었던 데에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공학수학(3)' 수강생은 아예 AI가 성적을 결정짓는 게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 수강생은 "기말은 중간이랑 동일하고 사실상 누가 AI를 잘 쓰는지 대결"이라며 "기말 만점 받은 사람도 있다는데 좋은 AI를 썼나 보다"라고 썼다. 이 글에는 "(만점 받은 사람이) 진짜 열심히 공부한 사람이면 억울할 텐데…부끄러움을 느꼈으면 좋겠다"라는 다른 수강생의 반론도 달렸다.
이 밖에도 "개꿀강 그 자체임. 출튀(출석 후 도망) 가능하고, 과제도 걍 GPT 돌리면 됨"(인문학에 길을 묻다), "과제는 중간리포트 기말리포트 있는데 대충 GPT로 때우고 글씨 크기 14로 해도 됨"(반기문과 함께하는 지속가능 발전의 이해), "과제도 지피티랑 같이 독후감만 쓰면 되고 그 외에 로드(부담)가 아예 없어서 좋았다"(거시경제원론) 등 AI를 사용했다는 자기 고백이 곳곳에 남겨진 상황이다.
문제가 된 강의 상당수는 비대면·동영상으로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교수와 직접 마주하지 않는 수업 특성이 AI의 부적절한 사용을 더 부추겼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에듀플러스]비대면 시험, 또 뚫렸다…연세대 이어 고려대도 부정행위 논란](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0/news-p.v1.20251110.98a0102dd4fc490babb44a0a06a055fd_P1.jpg)
![[에듀플러스]“AI는 테슬라인데, 대학은 여전 종이지도 그리고 있다”…대학 평가 제도, AI 시대 못 따라가](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0/news-p.v1.20251110.22c4b95f107843dd987a0aafe82038fb_P1.jpg)


![[10년 전 그날] 출제위원장 "수능, 작년 기조로 모의평가 수준 출제"](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1/1201235_914823_93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