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 왜 이렇게 우리 무시하냐"…중국·고려인 동포 뿔났다

2025-11-28

한국에 정착해 생활하는 중국 동포와 고려인 동포 중 약 4명 가운데 1명은 한국 사회에서 자신들을 향한 혐오나 차별이 크다고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민정책연구원은 28일 열린 ‘2025 이민데이터 세미나’에서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 8~10월 동안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경기 안산·시흥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동포 1200명과 고려인 800명을 직접 만나 설문을 진행했다.

응답을 살펴보면 ‘지난 1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동포를 향한 혐오나 차별이 두드러졌다’고 말한 비율은 중국 동포 23.7%, 고려인 23.4%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반면 ‘동포로서의 자부심’을 묻는 질문에서는 차이가 확연했다. 고려인 동포의 52.4%가 자부심을 느낀다고 답해 중국 동포(40.2%)보다 12.2%포인트 더 높았다.

소속감은 정반대 흐름을 보였다. ‘한국 사회에 소속감을 느낀다’는 응답은 중국 동포가 43.1%로 고려인(37.0%)보다 6.1%포인트 우위였다. 모국에 대한 소속감 역시 중국 동포(44.0%)가 고려인(37.7%)을 앞섰다.

언어 능력에서는 차이가 더 크게 드러났다. 중국 동포의 45%는 자신의 한국어 실력을 ‘상급’으로 평가한 반면 고려인의 49.7%는 ‘하급’이라고 응답했다. 가정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비율 역시 중국 동포가 56%로 고려인(25%)의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

경제적 인식에서도 차이가 존재했다. 자신을 ‘중상위층’이라고 판단한 고려인은 64.4%로 중국 동포(37.2%)의 거의 두 배에 가까웠다. 한국에서 사회적 지위를 정하는 가장 큰 기준은 중국 동포는 ‘직업’을, 고려인은 ‘한국어 능력’을 각각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한국으로 이주한 이유는 두 집단이 거의 동일하게 ‘취업과 경제활동’이라고 답했다. 실제 취업률은 중국 동포가 88%로 고려인(62.8%)보다 훨씬 높았다. 중국 동포는 숙박·음식점업, 제조업, 도소매업, 건설업 순으로 많이 종사하고 있었고 고려인은 제조업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그 뒤를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건설업이 이었다.

임금에서는 고려인이 앞섰다. 회사에 고용된 이들의 월 평균 실수령액은 고려인이 337만 원으로 중국 동포(263만 원)보다 74만 원 많았다. 자영업자의 월 평균 수익도 고려인(345만 원)이 중국 동포(291만 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금융자산 보유에서는 반대 결과가 나왔다. ‘한국 내 금융자산이 없다’고 말한 고려인은 55%로 중국 동포(26.7%)보다 두 배 이상 높은 비율을 보였다.

주거 형태 역시 차이를 보였다. 고려인 77.6%가 월세에 살고 있었고 중국 동포는 42.5%가 전세에 거주했다. 공공임대·행복주택 등 정부가 제공하는 주택 거주 비율은 각각 0.8%, 2.4%로 매우 낮게 파악됐다.

연구진은 “동포의 사회적 기여를 조명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한국어 교육을 강화해 언어 장벽을 해소하는 한편 이들이 불이익을 겪지 않도록 법적·제도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