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 확산의 방아쇠 된 울산...연 1조 원 이상 기본소득 가능"

2025-08-28

[울산저널]이종호 기자= 바야흐로 전력화 시대다. 전력 소모량도 그만큼 늘고 있다. 인공지능(AI) 검색은 일반 검색에 견줘 30배가량 더 전력을 소비한다. 울산 SK케미컬 부지에 100MW급으로 세워지는 데이터센터는 당장은 300MW LNG열병합발전소에서 전기를 공급받겠지만 1GW급으로 규모가 늘어나면 원전 1기 분량의 전력공급이 필요해진다. '전기 먹는 하마'인 셈이다. 전기차가 늘어나는 만큼 급증할 전력은 또 어떻게 충당할 것인가? 울산 앞바다 60~90km 해상에 조성되는 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없다면 AI와 전기차 시대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다.

수심 100미터가 넘는 먼바다에 부유체를 띄워 고정시키는 부유식 해상풍력은 노르웨이 국영기업 에퀴노르가 개발해 2017년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한 30MW 스코틀랜드 하이윈드가 최초다. 2021년 스코틀랜드 에버딘 남동쪽 해상에 50MW 킨카딘이 가동을 시작했고, 2022년 가동한 88MW 하이윈드 탐펜은 북해 석유가스 플랫폼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포르투갈에도 윈드플러스가 개발한 25MW 아틀란틱 부유식 해상풍력단지가 전력을 생산 중이다.

풍속 평균 8.5m 이상의 풍부한 바람자원과 약 150m의 적절한 수심, 세계 제1의 조선해양산업이 있는 울산은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을 추진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췄다. 민선 7기 송철호 시정부의 적극 행정으로 6개 투자사가 총 37조 원 규모의 민자 유치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3년도 안 돼 총 6.6GW의 발전사업허가를 받아냈다. 공급망지역협의회와 풍력발전협의회를 출범시키고 어민단체들과 상생협약도 이끌어냈다. 2년에 걸쳐 환경영향평가를 완료하고 한국전력과 송전용 전기설비 이용 계약도 체결했지만 윤석열 정부와 민선 8기 김두겸 울산시정부 들어 해저지반조사를 위한 공유수면점사용허가가 불허되면서 사업 추진이 지체됐고, 울산에 터빈 공장을 짓기로 했던 베스타스가 목포신항에 공장을 설립하기로 하는 등 난항을 겪었다.

그럼에도 지난해 에퀴노르가 개발하는 750MW 반딧불이 프로젝트가 20년 장기고정가격 경쟁입찰에 낙찰되고, 공급망 계약과 설치선 제작까지 진행하고 있어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은 본격 제조 단계로 들어섰다는 평가다.

울산 앞바다에 세계 최대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개발하는 사업이 빠르게 성공하는 모습을 보이자 영국이 2022년 1월 14GW, 노르웨이가 2023년 1월 1.5GW의 부유식 해상풍력 입찰을 발표하는 등 전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 규모가 급증하기 시작했다. 김형근 (사)기본사회울산남구위원장은 "울산에서의 자신감이 반영된 것"이라며 "울산은 전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 확산의 트리거(방아쇠)"라고 말했다.

김형근 위원장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활용해 주민참여형, 지자체참여형, 지자체주도형으로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을 추진하고 공유수면점사용료의 해수부 독점 문제를 개선하면 연간 1조 원 가까운 발전이익을 시민들에게 공유할 수 있다고 했다. 해상풍력단지 가동 후 설비 계약 기간이 끝나는 20년 뒤 발전기를 울산시가 기부채납받는다면 발전수익 전부를 기본소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사업이 본격 제조 단계에 진입하면서 대규모 투자를 위한 금융자본이 필요한데 국내 금융권 이용 우선 원칙을 적용하고, 국내 금융을 이용할 때 이자 수익의 일정 비율을 해당 지역 기본소득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특히 연기금의 화석연료 투자액을 재생에너지 투자로 전환해 투자 수익 중 일정 비율을 해당 지역 기본소득으로 활용하자는 제안도 내놨다.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총 사업비 약 40조 원의 50%인 20조 원(국민연금의 약 2%)을 투자한 뒤 수익의 일정 비율을 지역 기본소득화하자는 주문이다.

김형근 위원장은 "유럽연합(EU) 국가들은 자국 공기업을 해상풍력 챔피언으로 키워 세계를 공략하고 있다"면서 덴마크 오스테드, 노르웨이 에퀴노르, 스웨덴 바텐팔, 독일 RWE 사례를 소개하고,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고위험 고수익)'을 시도하기 어려운 국내 발전공기업들의 한계 때문에 지역 에너지공사를 만들어 공공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울산저널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