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대형 프랜차이즈조차 생존 위협받는 상황, 경기 둔화 아닌 소비 기반 자체의 붕괴”
“중산층과 서민이 외면한 소비재 시장에서조차 투자자들이 손실 입는 건 매우 이례적인 현상”
베스트셀러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소비 패턴 변화로 인해 맥도날드와 버거킹 등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들이 파산 위기에 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러한 경제 위기 속에서 비트코인, 금, 은 등 대체 자산이 더욱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요사키는 자신의 엑스(X, 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가난한 사람들은 패스트푸드조차 외면하고 있다”며 “그 결과 일부 초부유층 소유주들까지 재정적 타격을 입고 있다”고 전했다.
◆“버거킹, 맥도날드도 무너진다”…인플레이션 경고
그는 “몇몇 부유한 사람들은 맥도날드와 버거킹 프랜차이즈를 소유하고 있지만, 현재 여러 매장이 파산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오늘날 가난한 사람들은 맥도날드나 버거킹에서 식사할 여유조차 없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가난한 사람들이 사과나 케일처럼 건강하고 저렴한 음식을 소비하는 것은 긍정적인 변화일 수 있지만, 인플레이션 여파로 인해 심지어 가장 부유한 사람들조차 점점 가난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는 일부 개인에게는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경제 전체로 보면 결코 바람직한 신호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기요사키는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경고를 여러 차례 내놓은 바 있다. 그는 “맥도날드의 주요 감자 공급업체 중 하나가 파산했는데, 이는 가난한 사람들이 감자튀김 소비를 줄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소비 패턴 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조차 파산하는 상황은 경제 생태계 전반에 심각한 경고 신호”라며 “이러한 변화를 대비해 전문가들의 조언을 구하고 금, 은, 비트코인을 저축해왔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가짜 돈과 가짜 선생님들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지식이 새로운 돈’이 됐다”고 강조하며, “학교 교육에 진정한 금융 교육이 부재한 현실 속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가 ‘마르크스주의’ 성향의 교육부를 폐지하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발언이 단순한 위기 경고를 넘어, 현 경제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짚고 있다고 평가한다.
그들은 “기요사키는 인플레이션이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 소비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결과적으로 기존 자산 구조의 재편을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소비 기반 자체가 무너지고 있다”…전문가들도 공감
특히 “맥도날드와 버거킹 같은 대형 프랜차이즈조차 생존을 위협받는 상황은 단순한 경기 둔화가 아닌 소비 기반 자체의 붕괴를 의미한다”며 “중산층과 서민이 외면한 소비재 시장에서조차 투자자와 자산가들이 손실을 입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기요사키는 법정화폐 신뢰 붕괴 가능성과 함께 디지털 자산과 실물 자산으로의 이동을 전망하며 비트코인, 금, 은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그는 ‘지식이 새로운 돈’이라는 표현을 통해 전통 교육 체계의 한계와 금융 리터러시(금융 이해력) 향상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기요사키의 메시지는 단순한 자산 추천을 넘어 경제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경고”라며 “지금은 자산의 양이 아닌 본질을 돌아봐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