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국가대표 인공지능(AI)’을 만들 5개 정예팀을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을 만들 정예팀으로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경영개발원 AI연구원을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선발전에 참여한 총 15개팀 중 서면평가를 통해 10개 팀이 추려졌고, 지난달 말 진행한 발표평가를 통해 5개팀이 최종 선정됐다. 이들은 ‘K-AI 모델, K-AI 기업’ 명칭을 쓸 수 있게 되며 향후 데이터, 인재, 그래픽처리장치(GPU) 분야에서 정부 지원을 받는다.
과기정통부는 “5개팀 모두 수준 높은 AI 모델 개발 역량을 보유한 것으로 증명됐고 개발·확보한 AI 모델 등을 다른 기업 등이 상업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오픈소스 정책을 제시했다”며 “국내 AI 생태계 확장과, 다양한 AI 서비스 개발 촉진, 우리 국민들의 AI 접근성 증진 등에도 다각도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발표평가에서 나온 평가의견을 반영해, 사업비 심의·조정 단계 등을 거쳐 5개 정예팀의 사업 범위, 지원 내역 등을 조만간 확정한다. 이후 이들이 개발·확보한 AI 파운데이션 모델 등을 기반으로 올해 말 1차 단계평가(5→4개팀 압축)를 추진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대한민국 AI 기업들이 도약하고, 소버린 AI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게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더중앙플러스 : 팩플
“챗GPT, 거짓말해서 안 써요” 대학생 쓰는 ‘노트북LM’ 뭐길래
어차피 챗GPT만 쓰면 되는 거 아냐? ‘생성AI=챗GPT’가 되면서 오픈AI가 AI 서비스를 천하통일하나 싶었는데. 웬걸, 절치부심한 구글이 제대로 반격하기 시작했다. 구글이 만든 ‘AI 기반 연구 도우미’인 노트북LM이 뜨거운 반응을 얻으면서다. 1타 강사로도, 우리 팀 ‘일잘러’ 막내로도 변신하는 노트북LM. 요새 ‘AI 좀 쓴다’는 사람들은 다들 쓰고 있다는데. 팩플이 고수들의 사용법을 전한다.
퍼플렉시티 추천에 간택됐다, AI 검색에 걸린 韓기업 전략
검색의 시대, 검색 결과 상단 노출을 위해 치열한 마케팅 경쟁을 벌여 온 이들의 전장(戰場)이 서서히 옮겨가고 있다. 구글, 네이버 검색 대신 이들이 향한 곳은? 챗GPT나 제미나이, 퍼플렉시티 등 ‘인공지능(AI) 검색’ 판이다. 앞서 가는 마케터들 사이에선 최근 AI의 ‘간택’을 받을 수 있게 콘텐트를 작성하는 비기(祕器), ‘답변엔진최적화(AEO)’가 뜨고 있다. 마케팅을 전공하지 않아도, AI를 잘 몰라도 누구든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AEO 실전 활용법을 담았다.
“네 답변은 10점 만점에 4점” 똑똑한 챗GPT 만들 조련법…생성 AI 실전팁
팩플이 업계에서 소문난 생성AI 실전 고수들을 직접 만나 들은 AI 실전 활용법을 모았다. 마케터부터, 글로벌 비즈니스, 변호사, 디자이너, 일반 회사원에 이르기까지 생성AI 도움을 받아 뚝딱 일을 처리하는 AI 고수들의 노하우다. 대학생, 일반인이 활용 가능한 꿀팁도 꾹꾹 눌러 담았다. 이것만 읽으면 당신도 ‘생성AI 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