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은 인공지능(AI) 번역을 통해 생산한 콘텐츠로, 원문은 11월19일(현지시각) 블룸버그 보도입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미국 백악관이 의회에 엔비디아(Nvidia)의 AI 반도체를 중국 등 적성국에 수출하는 것을 제한하는 법안(GAIN AI Act) 통과를 막아달라고 요청하며, 이와 관련한 입법 추진에 제동을 걸었다.
블룸버그 등 외신은 정통한 관계자를 인용해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 엔비디아가 공개적으로 반대해온 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보도했다.
GAIN AI 법안이 시행되면, AI 반도체 수출통제 대상국에 우선적으로 미국 내 수요를 충족시키는 '아메리카 퍼스트' 시스템이 도입돼, 엔비디아와 AMD 등 미국 칩기업의 첨단 제품이 중국 등으로의 수출에 사실상 제약을 받게 된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다소 성능이 떨어진 모델은 중국 판매를 허용할 수 있지만, 최신·최고 성능 칩은 미국 내수로만 돌릴 것"이라 강조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엔비디아는 미국 내 고객의 칩 부족 문제는 없다고 주장하며, 수출 제한 입법을 강하게 반대해왔다.
법안이 무산될 경우, 미국 빅테크 업체들이 해외 데이터센터(사우디, UAE 등)로 첨단 칩을 보다 쉽게 이전할 수 있게 되어, 마이크로소프트 등 일부 하이퍼스케일러 입장에선 아쉬운 결과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의회 내에선 대중 AI 칩 제한 필요성에 여야를 막론한 공감대가 강해, 별도의 SAFE Act(30개월간 미국 허용 기준 이상 첨단 칩 대중 수출 전면 금지) 입법도 검토되고 있다.
엔비디아는 향후 AI 칩 수출의 주요 결정권이 미 행정부를 넘어 의회로 넘어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AI 분야 지배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미국 내 최신 반도체의 해외 유출 차단 기조를 거듭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첨단 AI 칩은 미국만 소유하도록 하겠다"고 거듭 못박았으며, 이는 중국뿐 아니라 동맹국 한국·유럽 등에까지 주요 칩 공급이 제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최근 "중국은 크고 역동적인 시장이지만, 미국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며, 현 상황에선 중국 매출 전망을 '제로'로 본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서의 H20 칩 매출에 대해 15%의 로열티를 부과하는 등 변칙적 방식으로 거래를 일부 허용해 논란이 되고 있다.
한편, 관련 입법 과정이 난항을 겪더라도, 미국에서 AI 반도체·클라우드·데이터센터 그룹의 해외 사업 확장 및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은 계속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shhwang@newspim.com






![[ET톡]정보보호 정책, 예산으로 말하라](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12/17/news-p.v1.20241217.b040b3274cf24dc990b335ca07423192_P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