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영원한 화학물질' PFAS 규제 뒤집기…반도체 업계 '안도'

2025-07-06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연적으로 생분해가 어려운 과불화화합물(PFAS) 규제를 완화한다. 반도체 제조에 필수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만큼, 규제 대응이 시급했던 반도체 업계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특히 PFAS 없는 대체재를 개발하는데 비상이 걸렸던 소재 업계는 대응 시간을 벌게 됐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지난해 4월 바이든 행정부가 제정한 PFAS 음용수 규제안에 대해 최근 재검토에 들어갔다. 내년 봄 수정안을 확정할 계획인데, PFAS 제한 범위를 축소하고 규제 시행 시기를 늦추는 게 골자다.

PFAS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에 폭넓게 사용되는 소재다. 반도체 회로를 그리는 노광, 회로를 깎아 형태를 만드는 식각, 박막을 형성하는 증착 등 공정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내열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 쓸모가 많지만, 분해가 잘되지 않아 미국과 유럽 중심으로 규제 대상으로 분류됐다. 환경오염과 인체 유해성 탓에 '영원한 화학물질'로도 불린다.

앞서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였던 지난해 4월 음용수 내 주요 PFAS 6종의 최대 허용 농도(MCL)를 설정하고, 일부 PFAS는 혼합물로 인한 쌓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위해도 지수(HI)'를 도입하는 등의 강력한 규제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는 2029년까지 단계적 적용 예정이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대폭 수정하기로 했다. 기존 규제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과불화옥탄산(PFOA)과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2종의 규제 기준은 유지하되, 적용 시점을 2029년에서 2031년으로 2년 연기했다. 나머지 4종(PFNA, PFHxS, HFPO-DA, PFBS)은 MCL 기준과 HI는 폐지하기로 했다.

업계는 미국의 PFAS 규제 완화에 안도하는 분위기다. 규제에 대응, PFAS 없는 반도체 소재를 개발해야하는 데 여유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동진쎄미켐·와이씨켐 국내 업체뿐 아니라 JSR·듀폰·머크 등 글로벌 기업까지 PFAS가 없는 대체재를 개발 중인데, 동일한 성능을 구현하는 데 기술적 난제가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세한 성능 차이도 반도체 생산성·수율·에너지 효율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한 소재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중장기적으로 PFAS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공급망 구축하고 있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PFAS 규제 완화 조치는 미국에서 사업하는 반도체 제조사와 소재 업체에 시간적 여유를 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의 조치는 PFAS 규제를 유럽보다 완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반도체 사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기업 투자를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PFAS를 다량 사용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거나 신규 투자를 진행 중인 만큼, 이번 규제 완화의 수혜가 예상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PFAS 규제를 완화한 건 단기적으로 반도체 업계에도 긍정적”이라며 “다만 규제 정책 변화를 면밀히 지켜보며 장기적으로 PFAS 대체재에 대한 연구개발(R&D)도 이어나가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진형 기자 jin@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