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판본문화관, 조선시대 출판문화를 들여다보다

2025-03-29

완판본문화관, '완영본과 완판방각본, 조선의 출판문화를 읽다'

지난 25일부터 개편 상설전시…완영·완판방각본 주제별 분류

조선시대 출판문화를 조명하는 특별한 기획전시가 완판본문화관에서 열리고 있다.

완판본문화관(관장 안준영)은 지난 25일부터 새롭게 개편한 상설전시 ‘완영본과 완판방각본, 조선의 출판문화를 읽다’를 선보이고 있다. 월요일 휴관.

이번 전시는 전라감영에서 간행된 완영본과 전주 서포에서 간행된 완판방각본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출판문화를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완판본은 국가 주도로 출판된 관판본(官板本)과 민간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간행한 방각본(坊刻本)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관판본은 국가의 주도로 정치, 학문, 행정 등을 목적을 위해 간행되었으며, 방각본은 대중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문학작품과 실용서를 출판하며 조선시대 출판문화의 한 축을 담당했다.

조선시대 출판문화에서 관판본과 방각본이 공존했다는 점은 두 출판의 형태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 왔음을 보여준다. 특히 전라감영은 국가 주도의 서적 간행이 활발했던 곳이며, 전주는 조선시대 단일도시로는 가장 많은 책이 출판된 상업 출판의 중심지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완영본과 완판방각본 서책을 각각의 특성에 맞춰 분류해 선보인다.

완영본은 유학서, 의서, 문집, 정치서, 운서 등으로 구분하고, 완판방각본은 판권지를 기반으로 서포별로 정리하여 소개한다. 또 복각된 목판도 함께 전시해 당시 출판 방식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안준영 관장은 "이번 전시 개편을 통해 조선시대 출판 방식과 그 역사적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며 "완판본이 지닌 기록(記錄)과 서사(徐事)의 힘을 통해 오랜 시간 동안 펼쳐진 이야기를 관람객과 나누고 싶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완판본문화관

박은 parkeun90@naver.com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