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댓글 좌표찍기' 방지책 내놨다…"공감수 급증땐 알림"

2025-04-28

네이버가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뉴스 서비스 내 ‘댓글 여론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댓글 정책을 마련했다.

네이버는 28일 제휴 언론사 공지를 통해 “특정 댓글에 일정 기준 이상 ‘공감’이나 ‘비공감’ 반응이 집중적으로 증가하는 기사를 24시간 이내 감지해 언론사에 안내하는 기능을 29일부터 신설한다”고 밝혔다.

네이버가 언론사의 뉴스 편집 도구인 ‘스마트콘텐츠스튜디오’를 통해 댓글 반응이 급증한 기사를 알려주면, 언론사는 해당 기사의 댓글 정렬 방식을 ‘순공감순’에서 ‘최신순’ 등으로 바꿀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감이 많은 댓글이 상단에 노출되는 네이버 뉴스 시스템을 악용한 온라인 댓글 여론 왜곡 행위를 방지하는 것이다. 문제의 댓글이 달린 기사를 본 이용자들에게도 ‘이용자 반응이 급증한 댓글이 있다’는 안내 문구가 노출된다.

네이버는 트래픽이 순간적으로 집중되는 댓글을 직접 통제하지 않고, 언론사가 정렬 방식을 변경해 통제하도록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트래픽이 집중되는 모든 댓글을 통제할 경우 좋은 의미로 공유가 되는 기사까지 막게 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서는 ‘댓글 여론 조작’ 현상을 두고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8일 네이버 뉴스 댓글을 조작한 혐의로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신남성연대’ 운영진을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이들은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을 통해 조직적으로 특정 네이버 뉴스 기사를 공유하고, 집단적으로 댓글을 작성해 ‘공감’ 반응을 누르는 식으로 댓글 여론을 왜곡했다.

이에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18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전체 회의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댓글 여론 조작 방지 대책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좌표를 지정하고 공감 수가 급증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고, 미리 기술적으로 조치하지 못한 점에 대해 굉장히 심려 깊게 생각한다”며 “비정상적인 활동에 대해 언론사들에 해당 내용을 알리고, 이용자들도 즉시 알 수 있는 기술적 조치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