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정거래위원회의 '콜 몰아주기' 과징금 소송에서 승소한 카카오모빌리티가 올해 로봇·자율주행 등 신사업 발굴과 기술 고도화에 집중한다. 지난해에 이어 역대 최대 연구개발(R&D) 투자를 이어가면서 로봇 배송 서비스와 자율주행 사업을 확장한다. 이르면 내년 콜 차단으로 인한 과징금 부과에 대한 행정소송 결과도 나올 전망이다.
26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과 디지털 트윈 등을 중심으로 25개 R&D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자율주행 플랫폼·소프트웨어(SW) 개발을 비롯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고정밀 지도(HD 맵) 제작 시스템 개발, 자율주행 데이터 수집 차량 개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도로 정보 분류 등을 추진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1분기에만 R&D로 199억원을 집행했다. 이 같은 흐름을 고려하면 올해 800억원에 가까운 투자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연간 R&D 집행비용은 2020년 273억원에서 지난해 723억원까지 약 2.7배 늘었다. 올해는 지난해에 이어 역대 최대 R&D 투자 기록을 경신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지난 22일 가맹택시의 콜 몰아주기 의혹 과징금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투자 자금을 확보했다. 서울고등법원은 공정위에 대해 과징금 271억원을 모두 취소하고, 소송 비용을 모두 부담하라고 판결했다. 지난해 영업이익(940억원)의 28.8%에 이르는 액수다. 공정위가 과징금 151억원을 부과한 '콜 차단' 의혹에 대한 행정소송 결과도 내년 나올 예정이다. 행정 소송에서 승소하면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바탕으로 신사업과 글로벌 플랫폼 확장에 속도를 낼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로봇, 자율주행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우선 제조사와 협력해 진행하는 로봇 배송 서비스를 확대한다. 지난해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과 로봇 오픈 API 플랫폼 '브링 온(BRING-ON)'을 선보였다. 로봇 제조사인 LG전자, 로보티즈, 베어로보틱스, 브이디컴퍼니와 제휴했다. 올해 제조사와 협력을 기반으로 플랫폼 제공 대상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와의 자율주행 사업도 이어간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9월 서울시의 자율주행차 대시민 서비스 민간사업자로 선정됐다. 서울시가 운영하는 자율주행 서비스를 '카카오 T'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제공한다. 서울 최초 차량호출형 서비스인 '서울자율차'도 카카오 T에서 선보이고 있다. 해당 사업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기술력을 고도화할 전망이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강남 심야 자율주행 서비스는 서울에 최초로 도입된 차량호출형 자율주행 서비스로 복잡도와 교통 환경을 고려할 때 기술 적용 난이도가 높은 도심에서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실증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면서 “향후 대규모 무인 유상 서비스의 경험이 있는 파트너와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면 상용 서비스로 전환 속도는 수년 내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전용 글로벌 모빌리티 플랫폼 '케이라이드'도 올해 서비스 대상 국가를 확대한다. \외국인 관광객이나 해외여행객이 언어, 결제, 계정 등 복잡한 절차 없이 다양한 국가에서 간편하게 차량을 호출하는 서비스다. 현재 미국, 캐나다, 일본 등 12개국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연내 30개국으로 서비스 대상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