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위국감] 유가족 대표 “책임자 없이 유족만…더 이상 외면 말라”

2025-10-29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이 국회 증언대에서 눈물로 호소했다.

29일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 국정감사에서 유가족협의회 대표 김유진 씨는 “이번 참사는 단순 사고가 아니라 관리 부실과 규정 위반, 안전 시스템 결여가 만든 명백한 인재(人災)”라며 “더 이상 우리를 외면하지 말라”고 절규했다.

김 대표는 “가족들과 평범하게 살아가던 그날이 눈앞에 선하다”며 “유가족이 직접 마이크를 잡고 위로를 구해야 하는 현실이 어떻게 가능하냐. 조사기구와 항공사는 우리가 왜 울부짖어야 하는지를 스스로 돌아봐야 한다”고 울먹였다.

사고 항공편은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경 태국 방콕발 여객기였다.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현장에서 사망했고, 생존자는 단 2명뿐이었다. 조류 충돌로 인한 유압 이상으로 활주로를 이탈한 뒤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한 것이 잠정 원인으로 제시됐다. 무안공항은 주변 갯벌과 조류 서식지로 인해 조류 충돌 위험이 높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날 감사에서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의 조사 독립성 부족, 책임자 증인 누락, 항공사와 유가족 간 소통 부재가 집중적으로 도마에 올랐다. 김 대표는 “사조위 단장과 제주항공 대표 모두 증인으로 나왔어야 하지만 철회됐다”며 “그 사실 자체가 국가가 유가족의 목소리를 외면한다는 상징”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은 “이 참사는 예견된 사고였다”며 “동일 엔진 부품이 8차례 교체됐는데도 제작사·항공사·조사기구 모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작사가 기술지시서(SB)를 통해 결함을 인정했음에도 ‘교체했으니 됐다’는 식의 태도가 반복됐다”며 “항공사와 조사당국은 사고를 단순 운항 문제가 아닌 국민 생명과 직결된 사안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사조위의 국무조정실 산하 이관 요구 및 자료 공개 요청에 대해 “현재까지 인력과 절차에는 변함이 없으며, 유가족 공개 방안은 사조위 사무국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맹성규 국토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유가족을 향해 “총리실로 이관된다고 모든 것이 해결되는 줄 아느냐”며 강하게 질타했다. 그는 “그대로 인력·조직이 옮겨 가는 것뿐이다. 태도의 문제를 고치지 않으면 국무조정실로 가도 달라질 게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국토부가 유가족과 충분히 소통하지 않아 불신이 커진 것”이라며 “조사위원회와 항공사는 지금이라도 납득 가능한 설명과 자료를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맹 위원장은 또한 “유가족이 납득할 수 있는 조사 절차가 돼야 한다. 결과만 던지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비공개로 할 부분은 최소화하고, 유가족과 함께 조사를 진행하라”고 주문했다.

이날 유가족 대표가 국감장에서 직접 마이크를 잡아야 했다는 사실은 항공사고 진상규명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임을 보여줬다. “관심을 가져달라”는 김 대표의 울부짖음은 단 한 번의 사고로 멈추지 않길 바라는, 남은 이들의 마지막 요청이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