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가 29일 영업 전담 조직 '토탈영업TF'에서 연이어 사망자가 발생한 것을 두고 "(지난해 구조조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재차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토탈영업TF에서 올해만 극단적 선택을 포함해 직원 여섯명이 죽었는데, 국감장에서 대표가 남의 일처럼 얘기하고 조치가 없다"는 지적에 이 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어느 기업이든 사람 한명이 죽으면 모든 인력, 조직이 해당 사안에 집중하고 원인을 규명하고 경영진 차원에서 사죄하고 반성하고 대책을 세우는데, KT는 그런 조치가 하나도 없다"며 "이재명 정부에서 이런 사고가 발생하면 간부 교체 등 대가를 치르고 대책을 곧장 내놓는데, 이해가 안 간다"고 질책했다.
김 대표는 "정말 마음 아프고 죄송하게 생각하고 안타깝다고 생각하지만, 구조조정이 특별히 (극단적 선택 등 사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 했다"고 답했다.
특별근로감독 등 사업자 차원의 조치가 있었냐는 질의에 김 대표는 "(특별근로감독을 포함해) 다각도의 정부 조사를 받았는데,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결과가 나온 것으로 안다"고 강조했다.
토탈영업TF는 지난해 10월 인력구조 혁신 추진을 위해 회사가 고강도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꾸려진 조직이다. 당초 직군과 상관없이 해당 인력을 도서산간 지역을 포함한 143개 지점으로 재배치해 논란을 빚었다.
경력에 맞지 않는 업무 분담과 과도한 실적 압박, 차별 대우 등 논란이 끊이지 않아 회사 안팎으로 공분을 샀다. 한번 배치되면 다른 부서로 이동이 불가하고, 1년 단위로 근무지를 순환하는 만큼, 일부에서는 사실상 퇴사를 압박하는 조치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실제 배치 이후 이어진 실적 압박에 직원들 사이에서는 부담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KT는 토탈영업TF 직원의 한 달 영업 목표를 1800만원(기술 조직 출신)에서 2500만원(영업 조직 출신) 수준으로 산정했다.
한편, KT는 지난해 임직원 5750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구조조정과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KT 넷코어·KT P&M 등 신설 자회사를 설립해 최종적으로 직원 1723명을 이곳에 보냈다. 2800여명은 희망퇴직을 신청했고, 응하지 않은 잔류 인원 2500여명은 토탈영업TF로 배치됐다.
![[2025 국감] '폭언' 배금주 전 보건복지인재원장, 경고 조치…솜방망이 처벌 비판](https://img.newspim.com/news/2024/10/17/241017090008774_w.jpg)


![[국토위국감] 유가족 대표 “책임자 없이 유족만…더 이상 외면 말라”](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044/art_17617266627611_343df9.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