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되는 韓 암호화폐 거래소…포브스 선정 순위 '연속 추락'

2025-02-04

국내 대표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가 발표한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소' 평가에서 국내 거래소들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순위가 추락하면서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미국 포브스가 발표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가상자산 사업자' 순위에서 업비트는 전년 4위에서 7위로 밀려났고, 빗썸은 17위에서 25위로 하락했다. 이는 포브스가 2022년 3월 첫 발표를 시작한 이후 세 번째 평가다. 특히 업비트는 지난 연례 평가에서 24위에서 4위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존재감을 키워왔으나, 이번 평가에서 순위가 크게 하락하며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한계를 드러냈다.

순위 하락 주요 원인은 파생상품과 기관투자 부문의 취약성으로 꼽힌다. 업비트는 전년과 올해 연속으로 파생상품 거래량에서 0점, 기관 고객 부문에서 전년보다 1점 떨어진 4점을 받았다. 빗썸 역시 두 부문 모두에서 0점을 기록하며 경쟁력 약화를 여실히 보여줬다. 반면 올해 1위로 올라선 시카고 거래소(CME) 그룹은 기관 고객 부문에서 10점 만점을, 4위 바이낸스는 파생상품 거래량에서 만점을 받아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상품 다양성 측면에서도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로빈후드가 7점을 기록했지만, 업비트는 5점, 빗썸은 4점을 받아 전년 대비 각각 1점씩 하락했다. 이는 국내 규제 환경으로 인해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 출시에 제약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거래소들이 다양한 금융상품을 통해 수익원을 다각화하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전통 금융권 진출로 인한 해외 규제 성숙도 높아지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국내 거래소가 밀리고 있는 것도 요인으로 지적된다. 세계 최대 비트코인 선물 거래소인 CME 그룹은 투명성, 감사 강도, 비용(수수료), 기관 고객 부문에서 만점을 받으며 비트코인 ETF 승인 효과를 톡톡히 누린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 서비스 거대 기업 피델리티도 14위를 기록하며 빗썸(25위)을 크게 앞섰다. 반면, 빗썸은 감사와 투명성 두 부문 모두에서 0점을 기록했고, 업비트는 투명성에서는 10점을 받았으나 감사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거래소들이 기관투자자 유치와 다양한 금융상품으로 성장하는 동안 국내 거래소들은 규제로 인해 새로운 서비스 출시에 제약받으며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다”면서 “법인과 기관투자자의 시장 참여는 투명성과 감사 강화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관련 규제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평가는 포브스가 코인게코, 코인마켓캡, 크립토컴페어 등에 등록된 200여 개 거래소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평가 항목은 총 9개 부문이다.

박유민 기자 newmin@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